Fe-Fe3상태도에 대해 조사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Fe-Fe3상태도에 대해 조사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를 가지는 사방정(orthorhombic)이고, 매우 경하고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4) 페라이트
철의 탄소고용체를 페라이트라고 하며, 페라이트와 마찬가지로 BCC 결정구조를 가지지만 격자상수가 다르다. 페라이트내의 최대탄소고용도는 1495 에서 0.09%이다.
C계 평형상태도와 변형조직도
(그림 2)
A
:
순철의 용융점 (1538 )
N
:
순철의 A4 변태점, 철
철 (1394 )
AB
:
페라이트의 액상선(응고가 시작되는 온도)
AH
:
페라이트의 고상선(응고가 종료되는 온도)
HN
: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기 시작하는 온도
JN
: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를 종료하는 온도
HJB
:
포정선(1495 , J점 ; 0.17 0.53%C), 이 온도에서 페라이트(H) + 액상(B)
오스테나이트(J)의 포정반응이 일어난다.
BC
:
오스테나이트의 액상선
JE
:
오스테나이트의 고상선
CD
:
시멘타이트의 액상선
ECF
:
공정선, 이 온도에서 액상(C)
오스테나이트(E) + Fe3
C(F)의 공정반응에 의해서 액상으로부터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가 동시에 정출한다.
C
:
공정점(1148 , 4.3%C), 이 조성의 합금은 공정조직인 레데뷰라이트 (ledeburite)로 된다.
E
:
오스테나이트에 대한 탄소의 최대고용한(1148 , 2.11%C), 이 조성으로 강과 주철을 구분하고 있다.
ES
:
오스테나이트로부터 시멘타이트가 석출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나타낸다. Acm선이라고 부른다.
G
:
순철의 A3 변태점, 철
철(912 )
GS
: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가 석출하기 시작하는 온도. A3선이라고 부른다.
S
:
공석점 (0.77%C, 727 )
PSK
:
공석선, 이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S) 페라이트(P) + Fe3
C(K)의 반응에 의해 펄라이트를 만든다. A1선(727 )이라고 부른다.
GP
: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로의 변태가 종료되는 온도.
P
:
철에 고용하는 탄소의 최대고용도(727 에서 0.02%C)
PQ
:
페라이트에 대한 탄소의 용해도곡선. 상온에서 탄소고용도는 0.008% 이하이다.
M
:
순철의 A2 변태점(자기변태점, 770 ).
MO
:
강의 A2 변태점.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레포트 월드(
www.repotworld.com
)
.JAMES F. SHACELFORD
.Heat Treating, in Metals Handbook, Vol.4, 9th Ed., American Society for Metals, Metals Park, Ohio, 1981
.C. R. Barrett, W. D. Nix, and A. S. Tetelman : The Principles of Engineering Materials, Prentice-Hall, New Jersey, 1973
.L. E. Samuels : Optical Microscopy of Carbon Steels, American Society for Metals, Metals Park, Ohio, 1980

키워드

Fe,   Fe3,   상태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0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