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assembled Monolayers and Nano-particles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elf-assembled Monolayers and Nano-particle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AM형성을 위한 전처리 과정
1) substrate: Au
2) Monolayer 선택 : 4-Aminobenzenethiol
3) 용매의 선택 : ethanol
4) 전처리 과정

2. Self Assembled Monolayer(SAM) 형성

3. SAM 형성 여부의 확인
1) IR
2) Contact Angle
3) CV

4. Immobilization of Nano Particles(NPs)

5. Immobilization 확인
1) UV
2) Contact Angle
3) CV

□Result and Discussion
1. Self Assembled Monolayer(SAM) 형성여부의 확인
2. Immobilization of Nano Particles(NPs)

□ Conclusion

본문내용

. 또한 amino groups이 용액의 pH가 내려감에 따라 protonation이 잘 일어나 상당한 양전하를 가지게 되어 음전하를 가지는 gold nanoparticles을 강하게 끌어당긴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pH가 너무 낮아 용액 안에 H이온이 많게 되면 H이온이 gold nanoparticles을 다시 둘러싸서 protonation이 일어나 (+)charge를 가지는 amino groups과 interaction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더 많이 붙은 PH5의 peak가 더 작은 wavelength에서 나온다. pH5에서는 520nm에서 pH3(큰 입자)에서는 530nm에서 peak가 나온다. 이는 입자의 크기로 설명할 수 있다. 낮은 pH에서는 용액 중에 이온이 많아져 gold nanoparticles이 뭉치는 효과가 있다. gold nanoparticles의 크기가 커지면 큰 wavelength에서 peak가 나오게 된다.
♤문헌값 : 39.3±5.3nm크기의 gold nanoparticles은 520nm에서 peak가 나오고 24nm gold nano particles은 518.5nm에서 peak가 나온다.
♤처음에 pH를 10으로 했을 때 gold nanoparticles이 뭉쳐서 자주색의 용액이 검게 변했다. 이는 용액 안에 OH가 풍부하여 gold nanoparticles 사이에 끼어들어가 ion 결정을 이루듯이 결정이 자라나게 된다. (+) charge를 가지는 gold nanoparticles의 표면의 원자 사이에 OH가 끼어들어가 안정하게 된다.
▶Contact angle
pH3
pH5
pH7
Data
59.996
54.069
57.12
59.72
55.16
평균
59.858
54.615
57.12
pH에 따른 Contact angle 결과 값은 재현성이 없어 보인다. 가장 많은 nano particle이 붙은 pH5의 Contact angle이 가장 크게 나와야 하지만 예상과 다른 결과 값이 나왔다. 다만 contact angle이 SAM의 Contact angle보다 크게 나와 Contact angle위에 nano particle이 붙었다는 사실만 확인 할 수 있었다.
▶CV
□ Conclusion
Au(111)위에 4-Aminobenzenethiol 1mM을 이용하여 SAM을 형성하였다. Self Assembled Monolayer(SAM) 형성여부의 확인하기 위해 IR, CV, contact angle을 측정하였다. IR의 경우 약 3000cm 보다 낮은 파장에서 benzene peak가 그리고 3300 ~ 3400cm 부분에서 작은 NH peak가 나온다. Au substrate의 contact angle은 문헌 값 보다 작게 나왔지만 SAMs의contact angle은 문헌 값과 거의 유사하게 나왔다. 측정된 contact angle 값은 SAMs이 형성되었다는 확인시켜준다. 18hr의 contact angle이 3hr 보다 작게 나와 SAMs이 더 조밀하게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ano Particles(NPs) Immobilization 확인은 UV, CV. Contact angle을 이용하였다. UV의 문헌값과 달리 pH5에서의 absorbance가 pH3보다 크게 왔다. 이는 pH가 너무 낮아 용액 안에 H이온이 많게 되면 H이온이 gold nanoparticles을 다시 둘러싸서 protonation이 일어나 (+)charge를 가지는 amino groups과 interaction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PH5의 peak가 더 작은 wavelength에서 나온다. pH5에서는 520nm에서 pH3(큰 입자)에서는 530nm에서 peak가 나온다. 낮은 pH에서는 용액 중에 이온이 많아져 gold nanoparticles이 뭉치는 효과가 있다. gold nanoparticles의 크기가 커지면 큰 wavelength에서 peak가 나오게 된다. NPs의 contact angle이 SAM의 contact angle보다 크게 나와 Contact angle위에 nano particle이 붙었다는 사실만 확인 할 수 있었다.
□ 참고문헌
Voltametric Behavior of Noradrenaline at 2-Mercaptoethanol Self-Assembled Monolayer Modified Gold Electrode and its Analytical Application XiuHua Zhang and ShengFu Wang*
Faculty of Chemistry and Material Science, Hubei University, Wuhan 430062, China
Construction of molecular probe on Au surface for detecting the tri-strand h-sheet structure
Wonbae Leea, Masahiko Harab, Haiwon Leea,*
Self-Assembly of Uniform Monolayer Arrays of Nanoparticles
Venugopal Santhanam, Jia Liu, Rajan Agarwal, and Ronald P. Andres*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Indiana 47907
An Adsorption Process Study on the Self-Assembled Monolayer
ormation ofOctadecanethiol Chemisorbed on Gold Surface
Dong Ho Kim, Jaegeun Noh,?Masahiko Hara,?and Haiwon Lee*
Surface Plasmon Resonance Studies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Linked to Gold andSilver Substrates by 2-Aminoethanethiol and 1,6-Hexanedithiol
E. Hutter,?J. H. Fendler,*,??and D. Roy*,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