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목재의 최첨단 이용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 목재의 최첨단 이용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목재의 이용
1. 펄프
2. 제지
3. 목재 탄화
4. 목재 주택

Ⅲ바이오매스의 이용
1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와 화학원료화
2 목재 등에서 에탄올의 생산
3 생물공학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생산
4 식물배양세포에 의한 물질생산

Ⅳ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임산자원
1. 대체에너지원으로서의 산림 및 Biomass 생산 가능성
2.에너지원으로 이용전망
3. Biomass 이용 실례

Ⅴ 결론

본문내용

않았고 제주도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다 한다. 그러나 우리가 해외산지 개발(필리핀, 인도네시아등등)에 의한 에너지원 생산 연구결과로 그곳에서 집약재배를 실시하여 생산물을 어느 정도 이용할 수 있다면 이의 이용 전망도 높다. 또한 일본에서는 Eucalyptus 葉에서 oil을 추출하여 자동차의 가솔린 대용 연료로 이용되고 있다.
3. Biomass 이용 실례
1) 목재 당화액을 이용한 Alcohol 생산
纖維素는 고등식물의 세포막을 구성하고있는 주요성분으로서 목질부는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energy 및 식량원으로서 또는 화학물질의 원료로 이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룩하기 위하여 섬유소 분해력이 강한 미생물을 직접 배양하여 균체를 사료 또는 식량으로 이용하거나 효소 또는 산으로 분해시켜 당류로 전환시키고 이들 당류를 이용하여 Alcohol 을 생산, 이의 경제성과 효용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섬유소를 분해하는 Celluase 反應系에 효모를 동시에 작용시켜 생성되는 당을 ethanol로 발효시키는 직접발효법도 연구되고 있다.
2) 미생물이용에 의한 목재 사료화
저이용 闊葉樹와 林廢殘材등 임산계 biomass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등의 탄수화물과 리그닌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막대한 탄수화물을 사료와 연료등으로 변환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를 가수분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정도는 시료의 셀룰레이스 당화율의 값에 따라 평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셀룰레이스 당화율은 리그닌의 함량과 반비례한다고 한다.
여기에 탈리그린의 필요성이 있게 된다. 그런데 미생물에 의한 리그린분해능의 측정은 다음에 의하여 검사되고 있다.
페놀 산화효소의 유무: 탄닌산 또는 沒食子酸添加培地에 의하여 균을 배양하고 산화질의 형성이 인정되면 리그닌분해균으로 판정된다.
3) 돼지감자(Jerusaluem Artichoke)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한 에탄올 생산
바이오매스를 생물화학적공정을 이용하여 알코올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각종 바이오매스 대상 식물중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는 이미 가장 우수한 에너지 작물(energy crop)의 하나로 미국 프랑스 및 캐나다 등 선진 공업국에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 작물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용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돼지감자는 원래 북미가 원산이며 지상부가 해바라기와 비슷하여 Wild sunflower 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식물학적으로는 Compositate(국화과), Helianthus 에 속하는 다년 초이며 염색체는 육배체(Helianthus)이고 야생성이 강하며 세계 여러 지역에 잘 적응하나 주로 온.한대지방에 걸쳐 자생하고 있다. 현재 Helianthus속의 식물로서 작물로 이용되는 것은 해바라기뿐이고 돼지감자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이용될 뿐이다. 미국에서 프랑스로 전파된 이래 프랑스를 중심으로서 유럽에서는 오랜 전부터 품종의 개량에 착수하여 다수의 우수품종이 선발되었다. 학명이 Helianthus tuberosus L.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뚱딴지라고도 불려오고 있으며 돼지의 사료로 이용되어왔다. 돼지감자의 생육특성은 기후나 토양에 잘 적응하고 추위에 강하며 일조를 좋아하지만 어느 정도 그늘에도 잘 적응하여 상당한 야의 괴경을 생성한다. 또한 건조를 좋아하나 수분소비량이 적지 않아 적당한 수분공급이 필요하고 토양산성에 대하여 민감하지 않아 습윤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토양에 잘 자라라 사양토 또는 식양토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병성,내충성도 강하고 저장도 타작물에 비하여 용이하다. 돼지감자의 탄수화물 수량은 1.1~ 13.6 ton/ha 로 옥수수 종실수량의 탄수화물이 3.2 3.7 ton/ha(Canada),3.0 ton/ha(USA)이고 사탕무의 4.4 ~ 5.9 ton/ha (Canada), 2.7 ton/ha(USSR)에 비교할 때 높은 수량을 보여 주고 있어 대체 에너지 개발 작물로서 이용가치가 크다.
Ⅴ 결론
목재는 인간이 지구상에 나타난 이래 용이한 접근성과 가공성 그리고, 넓은 이용성 때문에 생활 재료로 사용하여온 가장 중요한 필수품의 한 가지로 인류생활의 기본재료료서 매우 중요시하여 왔다.
오늘날에도 목재는 건축과 토목을 비롯하여 각종 가구류, 악기, 차량, 선박, 교량, 운동구, 농기구, 포장재료, 성냥, 젓가락, 이쑤시개 및 각종 공예용 재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제품이 간단한 가공처리만으로 이용하여 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현대과학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목재는 더욱 가공재조법이 개량, 발전됨으로서 건축과 가구용으로 필수용으로 쓰이고 있는 합판, 집성재, 섬유판 등 본질재료와 본질-시멘트보드, 각종 목질-플라스틱, 복합재 등을 생산하기에 이르렀고 활성탄을 포함한 각종 제탄, 향료, 생약재, 의약품, 가축사료 그리고 일반에너지 원료용으로도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 목재 펄프를 이용한 각종 종이류, 인견사, 셀룰로이드, 사진필름, 고급 포장재료에 이르기까지 발전된 물리적 가공법과 화학적 제법이 개발됨으로써 목재는 고금을 막론하고 조금도 그 중요성을 낮추어 생각할 수 없는 귀중한 재료가 되었다. 앞으로 유전공학의 발달로 목재의 종류와 성질이 개선되고 다양화되어 더욱 이용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목재는 우리 주위에서 많은 부분에서 활용되어 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생활의 모든 부분은 목재로 이루어져있으며 모두다 우리가 생활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것들이다. 이번 기회에 목재의 이용 기술을 알아봄으로써 우리 생활의 목재의 소중함과 목재를 이용함으로써 우리의 생활의 질은 높이고 보다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며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업이 되는 것을 알게 해준 좋은 기회가 아니었나 싶다.
◈ 참고문헌
http://www. naver. com
http://kr.altavista. com
http://ebenwood. co. kr
http:// yahoo. co . kr
http://www. daejin. or .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7.0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