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국가의 성격과 국가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초기국가의 성격
1) 지배자의 칭호
2) 인구수를 통한 고찰
3) 祭政 분리적 측면을 통한 고찰
4) 초기국가의 성격
2. 國家論과 君長社會論 비판
1) 國家論의 등장 배경
2) 군장사회(Chiefdom)론 비판
3) 국가론의 반성과 전망

본문내용

요소들 중에 몇 가지만 선택하여 특정의 정치단계가 그 단계라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김광억, 국가형성에 관한 인류학적 이론과 한국고대사) 즉 보편진화의 입장에서만 설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① 용어 사용에서 tribe나 chiefdom의 개념이 애매하게 규정되어 있다. (김광억, 한국문화 인류학)
② 한국 고대학계에서 주로 인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4단계 발전설은 반드시 통시적인 발달단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사회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습이며, 각 단계를 정형화된 형태로 보아서는 안 된다. 진폭이 넓은 과정적 범주로 보아야 한다(전경수, 신진화론과 국가형성론-인류학의 올바른 진화를 위하여)
③ 서구에서 제시된 인류학 이론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론을 단순화시켜 장신구로 이용하고 있다.(전경수, 같은 책)
④ 군장사회로부터 국가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복합군장사회를 비롯한 몇 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이송래, 국가의 정의와 고고학적 판단기준)
⑤ 서구 이론의 단순 적용은 오히려 문헌에 나타난 구체적 사실을 굴절, 왜곡시킬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이기동, 한국고대국가형성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3) 국가론의 반성과 전망
한국의 고대국가는 하나의 사회가 형성되어 그것이 계기적으로 발전하여 통일체를 성립시켰던 것이 아니라 발전정도를 달리하는 여러 사회가 竝列的으로 성쇠를 거듭하였기 때문에 이를 하나의 國家發展圖式으로는 담아내기가 어려울 지도 모른다. 특히 우리의 국가 형성시기에는 北으로부터의 流移民 파동이란 특수한 사정도 고려해야 하므로 더욱 그러하다. 가령 국가형성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여, 어떤 지역에는 자체내의 생산력 향상과 그로 인한 계급 분화로 국가를 성립시켜 가는 경우가 있겠고, 어떤 지역에는 이미 國家體를 경험한 移住集團이 先主集團과 결합하여 국가를 형성한 경우도 있어 상당히 다양한 모습을 지녔을 것이다. 이런 점들이 초기 국가론을 복잡하게 한 요인의 하나라 생각되거니와 역으로 이러한 다양성의 존재는 오히려 한국사 속에서 새로운 이론화를 가능하게 할는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초기 국가의 형성, 전개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 하나 반성해야 할 점은 외국 이론의 적용과 대비에 급급한 나머지 역사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實證과 文獻批判을 소홀히 하지 않았나 하는 것이다. 이론의 무비판적 적용도 문제려니와 실증과 문헌 비판의 불철저함도 깊이 반성해야 한다. 초기 국가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어디까지나 정확한 사실에 바탕한 체계적인 이해에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지적하고 싶은 것은 대부분의 논자들이 우리 고대사회의 성격규명을 염두해 두지 않은 채 초기 국가론을 전개한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과연 어떠한 사회를 고대사회, 고
대국가로 불러야 할 것이며, 어떤 점이 중세사회나 근대사회와 다른가. 혹은 우리의 고대사회를 전형적인 노예제사회로 볼 것인가, 아니면 아시아적 생산양식의 사회로 볼 것인가, 전혀 독자적인 성격을 지닌 사회로 볼 것인가. 말하자면 한국사의 전체적인 시야 속에서 초기국가 문제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렇게 할 때에만 바람직한 韓國史象, 韓國古代史象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
김철준, 1990 《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김정배, 2000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신서원
역사학회 編, 1985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一潮閣
김철준, 1976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김철준, 1975 《韓國古代國家發達史》한국일보사
국립 중앙 박물관, 1998 《(고고유물로 본)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통천문화사
노중국, 1990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民音社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7.1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