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방에 대한 의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교육 개방은 기회이다”
1. 교육의 선택권의 확대와 교육서비스의 다양화
2. 교육의 폐해, 비효율적인 운영의 극복
3. 해외유학 등의 감소로 외화유출 낭비
4. 교육 경쟁력의 강화
5. 외국의 교육은 보완재이며, 양질의 보완재가 되도록 함
6. 교육개방과 기업은 전략적 파트너이다.

* “교육개방은 교육주권의 포기이다”
1. 투기성 자본의 투입, 교육의 질 저하
2. 빈익빈 부익부 현상
3. 교육의 해체
4. 한국인의 정체성 혼란
5. 현 교육의 문제는 교육개방으로 해결할 수 없다.
6. 교육은 상품이 아니다.

- 참고

본문내용

입장에서는 개방을 하되 무분별한 개방은 위험하기 때문에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고 반대 입장에서는 개방은 찬성하지 않지만, 교육 경쟁력은 높여야한다는 것이다. 결국 두 입장 모두 한국의 교육을 살려야 한다는 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합리적인 판단이 전제가 된다면 성공적으로 의견차이를 좁힐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교육 개방이 사실상 이루어진 상태에서 국제 관례상 전면 취소는 불가능 하다. 사상을 떠나 현실적인 판단을 내리자면 현재로써는 양자 간의 대립보다는 어떻게 해야 성공적인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한다. 우리 나라가 작지만 강한 나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소모적인 대립의 멈추고, 교육 주체들끼리 합의과정을 통해 결속을 공고히 하여 교육 문제에 대해 어떤 선택을 내리고, 어떻게 합리적으로 이행해 나가야하는지,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
이현청(1996), 학생소비시대의 대학, 개방시대의 대학,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원
Gail S. Chambers 외(1994), 교육시장개방 알고 대비하자, 정남환옮김, 서울:미주
참교육 위한 전국 학부모회
http://www.hakbumo.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7.2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