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헌터의 <유비쿼터스>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처드 헌터의 <유비쿼터스>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네트워크 군대, N정당이 온다

2. 비밀없는 세계의 네 가지 사회 구조
1) 조직화 사회
2) 길을 잃고 외로워하는 사람들
3) 양심적 반대자
4) 네트워크 군대

3. 비밀 없는 소프트웨어

4. 현상파괴적 소프트웨어

5. 비밀 없는 세계의 비즈니스 모델

6. 해커는 시스템을 창조하고 크래커는 파괴한다.

7. 오픈소스 공동체에서 네트워크 군대까지

8. 오픈소스는 하나의 문화이다

9. 오픈소스는 효율적인 팀이다.

10. 투명한 의사소통

11. 돈에서 자유로운 공동체

12. 지도자에게 권력 대신 도덕성을

13.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쟁

14. 전장이 바뀌다

15. 누가 시장을 파괴하는가

16. 마이크로소프트의 거짓말

17. 네트워크 군대를 적으로 만들지 말라

본문내용

네트워크 군대에는 소용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상대편은 관리자도 없는 네트워크 군대였기 때문에 협상을 할 수도 없었다. 협상할 수 없다는 것은 오픈소스 진영에도 작은 문제점이 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게는 치명적이다 협상할 길이 없다는 것은 오픈소스 진영이 제거되거나 마이크로소프트가 항복해야만 전쟁이 끝난다는 것이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전쟁에서 이기라라는 보장도 없었다.
리눅스와 같은 오픈소스 제품의 사용자 기반은 고도로 훈련된 컴퓨터 전문가들이다.따라서 이들은 보통의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의 구매자돌보다 훨씬 더 총명하다.
리눅스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프로그래머나 파워유저들이다.이들은 컴퓨터 가동시간과 예측치 못한 컴퓨터 다운시간, 자료처리량 등 자신이 원하는 값을 측정할 수 있다.
14. 전장이 바뀌다
최근에 실패를 맛본 많은 회사의 공통점은 큰 가치가 있는 제품을 무료로 소비자에게 주어버리고 그 외의 다른 제품을 돈을 받고 판매하려고 하는 것이었다. 이런 사례에서 보듯이 이러한 보잘것 없는 기초 위에서는 기업과 경제를 성장시켜갈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GPL에 기반을 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과거 닷컴 기업들이 실패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그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자신들이 개발한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를 그 외의 제품에서 이익을 얻는다는 명분하에 무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런 정책은 소프트웨어산업의 생존에 커다란 위험을 안겨 주고 있는 것이다.
15. 누가 시장을 파괴하는가
경쟁사가 비슷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배포하는 상황에서 자사의 소프트웨어는 돈을 받고 판매해야 한다면 기업이 생존할 수 없는 것은 확실하다. 이것은 가트너 그룹이 시장파괴자라고 부르는 사업모델이다. 시장파괴자는 다른 제품을 팔 목적으로 제품 하나를 무료로 배포한다. 이때 시장파괴자가 무료로 배포하는 제품과 비슷한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모델도 역시 시장파괴자 모델이다. 소프트웨어는 무료로 제공되고 그에 대한 서비스에 돈을 지불한다.
이처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모델이 정말로 그렇게 잘못된 것이라면, 즉 그런 빈약한 기초 위에서 기업과 경제의 미래를 발전시킬 수 없는 것이라면 왜 그냥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자체적으로 소멸하게 놔두지 않는 걸까? 문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사업모델이 실제로 붕괴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6. 마이크로소프트의 거짓말
마이크로소프트의 리더들은 자신들이 오픈소스 진영과 전쟁 중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그 위협이 심각할 정도라는 것도 안다. 그리고 그들은 파워유저를 기반으로 한 싸움에서는 이미 지고 있다는 것도 안다. 그래서 그들은 전장을 일반 소비자와 기업 관리자층으로 옮기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오픈소스가 마이크로소프트와 경제 전체에 해를 끼친다는 말에 쉽게 설득당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파워유저에게 통하지 않았던 방법을 똑같이 일반소비자와 기업 관리층에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역시 현재 오픈소스 운동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하면서도 웨사이트를 포함한 자신의 주요 제품에 오픈 소스 코드를 몰래 사용하고 있다.
17. 네트워크 군대를 적으로 만들지 말라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소스 진영과 협상하기 위한 공식 채널을 열어 운영체제의 개발 계획을 알리고 오픈소스 진영의 의견을 묻는 등의 노력을 하거나 또는 좀더 현실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하지 않는 트로토콜을 마이크로소프트에 적용하여 오픈소스 소스트웨어 제품도 마이크로소프트 운영체제에 맞게 조치할 수도 있었다. 이 거인 기업은 오픈소스 운동에 대해 잔인하게 욕을 하기보다는 약간의 존경심을 보여 주었다면 지금과 같은 곤경에 처하지 않았을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네트워크 군대에 맞서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보여주는 교과서와도 같은 경우들을 보여 주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재미있고 쓸모 있는 그리고 호전적이고 따지기 좋아하는 친구들을 만들 수도 있었다. 하지만 반대로 마이크로소프트의 파괴에 혈안이 되어 있는 강적을 만들어 버렸다. 오픈소스 운동이 마이크로소프트를 파괴할 지 그렇지 않을지는 확실하지 않다.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상당부분 피해를 입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손해를 볼 것이다. 앞으로 오픈소스 운동이 마이크로소프트에 어떤 피해를 끼치든 마이크로소프트는 그것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參考文獻
1. 리처드 헌터 지음, 윤정로 외 옮김, 유비쿼터스, 21세기북스, 2003.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8.0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