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사 방법

3. 결과
(1) 년도별 발표된 전체 논문의 수
(2) 심리 평가에 관한 연구
(3) 심리 치료 분야
(4) 정신 장애 유형별 연구
(5) 연구 대상
(6) 가족의 영향 연구
(7) 최근 새롭게 다루어지는 주제

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에 대한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알 수 있다.
(6) 가족의 영향 연구
가족의 영향 연구는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부부관계, 가족 교육, 가족간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들을 그 내용으로 했다. 다음 그래프는 편의상 90년대 이전과 90년대 이후로 나누어 가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보면 가족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다가 최근 10년 사이에 급격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가족 교육과 가족간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는 90년대 이전에는 한건도 보이지 않다가 90년대 이후에 연구 주제로 나타난다.
(7) 최근 새롭게 다루어지는 주제
그 밖에 전에는 연구되지 않다가 새롭게 나타난 연구 주제 등을 조사해보았다.
*성에 관한 주제 (성역할, 성피해, 성행동 등)
- 92년 이전에 3건,2000년 이후에 4건
*섭식에 관한 주제(다이어트, 식이행동, 비만)
- 95년 이후 8건
*인터넷에 관한 주제 (게임중독, 음란물)
- 2001년-2002년 2건
*집단 괴롭힘,왕따 - 2001년 3건
*실직 - 2000년 1건
전체 연구 중 이러한 주제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작지만 전에는 없던 주제가 새롭게 나타나는 것은 사회 문화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에 대한 결론 및 논의
임상 심리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의 수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연구 내용은 정신 장애 관련 연구와 검사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 치료, 상담 분야에 관한 연구보다 검사, 척도에 관한 연구가 월등히 많지만 치료 관련 연구도 늘어가고 있고 그 분야에서는 특히 인지, 행동 치료에 관한 연구가 많다. 또한 치료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심리 검사, 척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연구의 대상도 여성, 아동, 청소년, 노인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성과 섭식, 인터넷, 집단따돌림, 실직과 같은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주제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조사의 누락된 자료에서 많은 정보가 손실 되었고 각 논문의 주제를 범주화 시켜 분류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또 초기 연구 수가 극히 적었으므로 그에 대한 각 주제별 빈도가 차지하는 비율이 최근 연구와 비교 할 수 있는지에 관한 빈도 분석의 한계도 이 조사의 제한점이었다.
5. 참고 문헌
안창일 (2002). 임상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임상 심리학회 학회지 vol.1- vol.21 (vol.17-1과 vol.21-1,3제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8.27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