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돈 순교설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차돈 순교설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3. 순교사실의 설화화
1. 흥륜사 창건문제 4. 설화의 의의
2. 이차돈과 법흥왕 결론

본문내용

련하여 이차돈이 처형되는 이유는 ①법흥왕의 창사 의도를 성사시키기 위해 짐짓 왕명을 僞傳한 책임(향전, 해동고승전) ②법흥왕의 창사 명령을 고의로 지체시킨데 대한 책임(삼국유사)의 두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이 가운데 후자가 더 타당하다고 본다. 법흥왕의 흥법의지와 태도가 분명하고 이차돈의 순교 의의 또한 충분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4) 이차돈의 순교설화에는 후세의 허구가 아닌 역사적 사실의 반영이다. 설화에는 역사적 사실과 신비적 신앙의식이 함께 내재하는데, 순교사실의 설화화 과정으로 미루어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번 보고서의 주제를 「이차돈 순교설화」로 정한 이유는 지금까지 길지 않은 시간동안 역사공부를 하면서 느꼈던, '과연 우리는 역사적 사료와 사실들을 어디까지 인정하여야 하고 어디서부터 선택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의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고민해 보기 위해서였다. 이차돈 순교 설화를 처음 읽었을 때 그의 白血이 너무도 신기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어의없어 하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보고서의 준비는 아주 뜻깊은 작업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1. 최광식 「이차돈 설화에 대한 신고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이봉춘 「흥륜사와 이차돈의 순교」 신라문화 제20집, 2002
3. 김무조 「고슴도치(이차돈)죽음의 이원적~」경성대학교 논문집 제3권, 1992
4. 이광수 『이차돈의 死』 우신사, 1993
5. 정의행 『인물로 보는 한국불교사』밀알, 1994
6. 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일지사, 1999
7. 정태혁 『한국불교 융통사』정우서적,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