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의 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악의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하악골의 기본운동
1. 접번운동(hinge movement)
2. 활주운동 (sliding movement)

(2) 기능운동 (functional movements)
1. 개폐 운동(Openning and closing movement)
2. 전▪후방운동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3. 측방운동 (lateral movement)
4. 저작시 하악운동
5. 연하시 하악운동
6.발음시 하악운동

(3) 한계(경계)운동 (Border movement of the mandible)
1. 시상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Sagittal plane border and functional movements)
2. 수평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Horizontal plane border and funtional movements)
3. 전두면(수직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Frontal(vertical) border and functional movements]

본문내용

하두가 이완 상태에 있으면 좌측 과두는 중심위에 남아 있게 되고 따라서 좌측방 한계 운동이 일어난다.(즉 우측 과두가 좌측 과두의 전두축을 주위로 궤도 운동한다). 좌측과두는 하악이 그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과두(rotation condyle)라 불리고, 우측 과두는 회전과두 주위로 궤도운동을 하기 때문에 궤도과두(orbiting condyle)라 불린다. 또한 좌측 과두는 작업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 과두(working condyle)라 불리고, 마찬가지로 우측 과두는 비작업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작업과두(nonworking condyle)라 불려진다. 이 운동을 하는 동안 탐침은 좌측방 한계 운동과 일치하는 선을 기록판 위에 그리게 된다.
② 전방 운동을 동반한 지속적인 좌측방 한계 운동(Continued left lateral border movements with protrusion)
하악이 좌측방 한계 위에 놓이고 우측 외측 익돌근 하두의 지속적인 수축과 더불어 좌측 외측 익돌근 하두의 수축이 있게 되면 좌측 과두는 전방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우측 과두는 이미 최전방 위치에 있게 때문에 좌측 과두가 최전방 위치로 움직이게 되면 하악의 중심선이 이동하여 안면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된다.
③ 우측방 한계 운동(Right lateral border movements)
좌측방 한계 운동이 기록되면 하악을 중심위로 다시 위치시키고 우측방 한계 운동을 기록한다.
좌측 외측 익돌근 하두의 수축은 좌측 과두를 전내방(하방도 포함)으로 움직이게 한다. 마약 우측 외측 익돌근 하두가 이완되어 있으면 우측 과두는 중심위에 남아 있게 된다. 이 하악 운동이 우측방 한계 운동이다(즉 좌측 과두가 우측과두의 전두축의 주위를 궤도 운동한다). 따라서 이 운동에서 우측 과두는 하악이 우측 과두의 주위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과두(rotation condyle)라고 불려진다. 이 운동중의 좌측 과두는 회전 과두의 주위로 궤도 운동하기 때문에 궤도 과두(orbiting condyle)라 불려진다. 이 운동을 하는
동안 탐침은 우측방 한계 운동과 일치
하는 선을 기록판 위에 그리게 된다.
④ 전방 운동을 동반한 지속적인 우측방 한계 운동(Continued right lateral border movements with protrusion)
하악이 우측방 한계 위에 놓이고 좌측 외측 익돌근 하두의 지속적인 수축과 더불어 우측 익돌근 하두의 수축이 있게 되면 우측 과두는 전방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좌측 과두는 이미 최전방 위치에 있기 때문에 우측 과두가 최전방 위치로 움직이게 되면 하악의 중심선이 이동하여 안면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수평면상에서의 하악 한계 운동은 끝나게 된다.
측방운동은 개구량의 정도를 증가시키면서 이루어질 수 있대. 개구 정도를 증가시키면서 한계 운동을 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기록되는 부위가 작아지고 최대 개구 위치에서는 거의 측방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⑤ 기능 운동(Functional movements)
시상면에서와 같이 수평면에서의 기능 운동도 교두간위 근처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 저작시 하악 운동의 범위는 교두간위에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시작된다. 그러나 음식물이 좀 더 작게 부서지게 되면 하악 운동은 교두간위에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저작시 하악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있는 교합 형태에 의해 좌우된다.
3. 전두면(수직면)에서의 한계운동과 기능운동[Frontal(vertical) border and functional movements]
하악 운동을 전두면에서 관찰하면 네 가지의 뚜렷한 운동 요소와 함께 기능적 요소를 가진 방패모양(shield-shaped)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좌외측 상방 한계
좌외측 개구 한계
우외측 상방 한계
우외측 개구 한계
전두면에서의 하악 한계 운동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기록되지 않았지만 이 운동을 이해함으로써 하악 활동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① 좌외측 상방 한계 운동(Left lateral superior border movements)
하악을 최대 교두간위 상태에 두고 좌측으로 측방 운동을 한다. 기록 장치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경로가 나타난다. 이 경로의 모양은 1차적으로 운동시 접촉하는 상하악 치아의 형태와 악관 관계에 의해서 결정되고, 2차적으로 작업측 즉, 회전측 악관절의 과두-원판-관절와 사이의 관계와 형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운동의 최대 범위는 회전 관절의 인대에 의해 결정된다.
② 좌외측 개구 한계 운동(Left lateral opening border movements)
최대 좌외측 상방 위치에서 개구 운동을 하게 되면 외측으로 볼록한 경로가 생기게 된다. 최대 개구가 가까워지면 인대가 긴장되어 내측으로 향한 운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하악의 중심선은 안면의 중심선과 다시 일치된다.
③ 우외측 상방 한계 운동(Right lateral superior border movements)
좌측방 한계 운동이 일단 기록되면 하악은 교두간위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이 위치에서 우측으로 측방 운동을 한다. 이는 좌외측 상방 한계 운동과 비슷하다. 이에 포함되는 치아 접촉으로 인해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④ 우외측 개구 한계 운동(Right lateral opening border movements)
최대 우외측 상방 위치에서 개구 운동을 하게 되면 외측 개구 운동과 비슷하게 외측으로 볼록한 경로가 생기게 된다. 최대 개구가 가까워지면 인대가 긴장되어 내측으로 향한 운동을 일으킨다. 이는 하악의 중심선을 안면의 중심선에 일치시키는 이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써 좌측 개구 운동은 끝나게 된다.
⑤ 기능 운동(Functional movements)
다른 면에서와 같이 전두면에서의 기능 운동역시 교두간위에서 시작되고 끝난다. 저작시 하악은 원하는 개구가 이루어질 때까지 직하방으로 내려간다. 여기서 식괴가 놓여 있는 쪽으로 이동한 후, 올라오게 된다. 교두간위에 가까워지면 식괴는 양 치아 사이에서 부서진다. 폐구시 마지막 1mm 부위에서 교두간 위로 재빠르게 돌아간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