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게임산업 동향과 한국의 문화 콘텐츠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게임산업 동향과 한국의 문화 콘텐츠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중국의 게임산업 동향
(1)게임산업의 중요성
(2)중국의 게임산업
(3)중국에 진출한 한국 온라인게임
2.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망
(1)한국문화콘텐츠의 SWOT분석
(2)한국의 문화콘텐츠의 경쟁력과 과제

본문내용

있다. 두 번째 전통문화와 풍부한 창의적 소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 반만년의 찬란한 역사 속에서 축적되어온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런 뿌리깊은 문화를 현대 문화와 접목시켰을 때 나올 수 있는 창의적인 문화 또한 한국 문화콘텐츠의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적 수준의 인터넷 환경이다.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인프라는 타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큰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를 유통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큰 강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강점은 기회를 포착하고 이에 적용을 하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은 동아시아지역의 한류열풍으로 한국 문화상품에 대한 해외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IT산업의 발달 및 디지털 컨버젼스로 디지털 콘텐츠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층의 문화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한국문화콘텐츠에 약점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영세한 자본구조, 전문인력부족, 유통구조 취약, 시장의 불투명성은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에 장애요소이다. 결국 한국문화콘텐츠는 인프라의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것이다. 약점은 이것뿐 아니다. 한국문화콘텐츠의 견인차 역할을 해야할 관련 부처들의 협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관련 부처의 협력이 없이는 인프라의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단점을 보완, 수정하기 힘들다.
현재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은 위기를 겪고 있다. 모든 기업의 경쟁은 국제화를 넘어선 글로벌화가 심화되면서 외국문화콘텐츠와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아직 문화
적으로 선진국이 아닌 한국문화콘텐츠가 글로벌경쟁에서 살아남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리고 한국의 저조한 내수시장의 악재로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투자가 메말라 있는 상태이다.
(2)한국의 문화콘텐츠의 경쟁력과 과제
자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중일 문화콘텐츠산업 경쟁력 비교분석"
현재 한국은 현재의 문화생산력을 나타내주는 기본 인프라와 문화산업 즉, 문화산업지수에서는 중국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문화창출지수는 2배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우리는 초점을 맞추어 대안을 찾아야한다.
21세기 주요 경제 성장 원천이 될 문화생산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화 인프라를 크게 확충하는 가운데 보다 적극적인 문화 산업 육성 정책을 마련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문화 창출력을 최대한 활용해 나가야지만 거대시장 중국에서 다른 문화 또는 중국문화에 밀려나지 않고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중국에서 굳건한 위치를 고수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엔터테인먼트 산업 - 심상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한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긴급제언 - 심상민 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 -
문화산업의 한중일 협력방안 -김휴종 삼성경제연구소-
한중일 문화 컨텐트 경쟁력 분석 - 문화컨텐트진흥원
게임의 역사 - 러셀 드마리아 조니 L.윌슨 지음 송기범 옮김 제우미디어 -
차이나 게임 위클리 96,97호 번역본
제4회 중국온라인게임 시장조사 보고(2004)번역본 - 17173.com -
한국경제신문
매일경제신문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0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