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자원 개발과 보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갯벌자원 개발과 보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갯벌의 현황
2. 갯벌의 기능
3. 갯벌의 가치
4. 갯벌자원의 개발과 보존

본문내용

수산물 생산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뜻한다. 연안 양식업뿐만 아니라 연근해 어업의 생산고 역시 갯벌이 어떻게 보전되는가와 직접 관련이 있다. 갯벌과 밀접히 관련된 어업은 양식업으로 가장 큰 것은 해조류 양식업이다. 미역은 주로 남해안에서 다시마는 동해, 김은 서해에서 양식되고 있다. 갯벌이 발달한 서해는 김 양식장의 보고이다. 또한 패류(굴, 홍합, 피조개..) 생산량은 약 26만톤에 달한다. 양식은 주로 남해에서 이루어지나 전남지역(해조류/이매패류 생산량1위)은 서남해안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이들 패류의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서해갯벌 지역에서 양식하는 패류는 주로 바지락(절대우위!), 동죽, 백합, 가무락, 가리맛조개 등이다. 여기에 더하여 갯벌은 수산자원 보고로서의 가치는 단순한 경제적 환산가능 가치 이상을 지닌다. 갯벌은 또한 연근해 서식 어류의 산란장, 보육장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갯벌은 각종 어패류가 사는 매우 중요한 터전이었다. 수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보금자리로 주변 바다를 깨끗하게 지켜주는 더없이 고마운 존재이나 1980년대 후반 '개발' 이라는 이름으로 갯벌매립이 잦아졌다. 갯벌의 가치와 기능을 무시한 채 땅 넓히기를 한 결과 많은 땅이 새로 생긴 것은 사실이나 이런 개발은 부작용을 낳아서 오염된 강물이 그대로 바다로 흘러 어민들은 생계위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가 갯벌간척으로 얻은 땅은 약 620㎢(서울크기)에 달한다. 1960-70년대 갯벌개발이 본격화되었고 80년대에 전성기를 이루다가 90년대에는 시화방조제 공사를 완공했다.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진 매립과 간척으로 지난 10년간 연안의 갯벌은 30~40%가 사라졌다.
갯벌의 관리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국가적 재산'으로의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 지금까지 갯벌의 간척매립은 산업화, 도시화 및 식량자급을 위하여 이루어져 왔으나 향후는 환경 및 자원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갯벌을 잘 보존하는 것이다.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농경지에 비해 100배, 연안해역에 비해 거의 40배나 된다고 하니 국토확장을 위해 갯벌을 메우기에 앞서 갯벌의 보존운동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 우리 생명을 지켜 나가야 한다. '자연정화조', '생물자원의 보고'로 불리는 갯벌의 기능을 제대로 알고 보존하여 세계 자연유산으로도 손색이 없는 우리의 갯벌을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0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