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산업의 실태와 새로운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머리말
2. 한국영화의 문제점

제 2 장 본론
1. 한국 영화산업 현황
2. 한국 영화의 위기와 산업화

제 3 장 결론
1. 변화의 길목에선 한국영화 산업
2. 한국영화산업 새로운 전망

본문내용

맡았던 영화인은 프로듀서와 제작자의 분화, 그리고 극
장주, 배급업자 등의 새로운 구성원들이 실질적으로 영화를 지배하게 된다. 지금은
자본의 유통과정을 맡고 있는 배급이 지배하는 기계복제의 예술로써의 영화시대라
는 것이다.
일본 영화의 개방과 관련하여 그에 대한 걱정은 곧 우리 영화의 현실과 연결되어
해석되었다. 나는 일본영화의 작품성은 어느 정도 인정했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많
이 걱정하는 시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일본 영화 뿐
만 아니라 대중문화의 개방에 자신감을 가졌었다. 하지만 그 자신감인지 기대감인
지가 그냥 허물어지고 말았다. 우리가 지금 개방하는 것은 일본 대중문화가 아니라
그 시장인 것이고 대중문화는 이미 우리의 눈 속에 머리 속에 깔려져 있다는 부인
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을 잊어버렸던 것이다. 아니 강사의 말대로 지금까지 일본
대중문화를 베껴 우리에게 보여줬던 대중문화를 실제로 보게된다는 사실을 새삼스
럽게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다.
먼저 한국영화를 보지 말고 좋은 영화를 보자는 주문이다. 투자한다고 무조건 발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 문화가 없는데 돈만 쏟아 부으면 그 돈은 결국 장
사꾼들의 배만 불리게 된다. 오히려 그 돈은 문화의 기초를 세우는데 써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영화를 많이 보지 말자고 한다. 다양한 문화의 습득이 중요한 것
이지 영화에 시간을 집중하는 것이 진정 영화와 문화를 위함인 것이 아니다. 차라
리 좋은 영화를 여러 번 보는 것이 낫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모여서 관계함을 강조
한다. 영화를 진정 상품자본으로서만이 아니라 예술 작품으로서 우리 정서함양의
문화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 토대는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도록 생각하는 사
람들이 모여서 관계하면 이슈가 있을 때 연대하여 틀린 것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생
긴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영화 뿐 만 아니라 이 사회가 조금이라도 올바른 방향으
로 개혁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옥, 1992, "한국영화사 연구 서설", 이중거, (한국영화의 이해).
이상면, 1995, "새로운 매체, 영화에 대한 논의"
이중거 외, 1992, {한국영화의 이해}, 도서출판 예니.
정중헌, 1991, "한국영화를 살리자", (영화평론)
최진용, 1995 한국영화정책의 흐름과 새로운 전망, 집문당
웹페이지- 정성일, 영화평론가, 한국영화의 실태와 문제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2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