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 교수 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수·학습 목표

2. 교수·학습 대상

3. 교수·학습 과정

4. 교수·학습 방법

5. 교사의 역할

6. 교수·학습 재료

7. 학습 분위기

8. 교수·학습활동

본문내용

를 그렸으나 배후에는 광대무변한 자연계의 섭리가 함축되어 있다.
나뭇가지에 앉아 지저귀는 듯한 새의 모습은 다소 성근 듯이 묘사되어 있지만 그것 이 오히려 스산한 아침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뿌리 없는 나뭇가지가 화면 밖에서 들 어와 잠시 모습을 나타냈다가 다시 화면 밖으로 빠져나가는 표현은 무한한 상상을 가능케 한다. 나무 뿌리가 나타나 있지 않고, 원 둥치가 화면에 생략되어 있다 하더 라도 관조 속에서 그 생략을 보충할 수 있는 힘이 있다면 그 생략은 결코 화면의 결 핍이 아니라, 그러한 존재 형식이 시계(視界) 밖의 전체 자연을 화면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화면의 깊이와 상상이 폭을 넓혀 그림의 격을 한층 높 여 주는 구실을 하고 있는 것이다. <조작도>화면에 나타나 있는 나무와 새는 자연 의 한 부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실은 화면 밖의 광대한 대자연을 함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작품을 표현 기법이나 주제, 조형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장단점을 비교하여 보자
-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화와 여백을 서양화 작품과 비교하여 이야기한다.
다. 정리단계
학습내용 정리하기
- 이번 시간을 통해 느낀 점 발표하기(자발적으로 원하는 학생)
- 이번 시간에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적어보기(감상 학습지 이용 - 개별적으로 각자 쓰기)
- 여백이 잘 나타난 한국화 1점 찾아오기
***** 감상 학습지 *****
감 상 학 습 지
학년 반 이름:
작품의 첫 느낌은 어떠합니까?
작품1:
작품2:
작품3:
작품4:
작품 중에서 하나를 골라 여백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적 어봅시다.
‘여백’으로 한국화와 서양화의 차이 점은 무엇일까요?
한국화에서 여백을 표현한 의도는 무엇일까요?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느낀점을 적어보세요
< 참고 문헌>
정인수, 최규남, 한국화교육의 교수학습 모델 연구, 초등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01
오병환, 감상활동을 통한 한국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2001
임태규, 초등학교 수묵화 지도법, 미술교육연구논총 제11집,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2000
임태규, 초등학교 수묵화 지도의 필요성에 관하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9집,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2000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솔출판사, 서울, 1999
허균, 우리의 옛그림, 대한교과서, 서울, 1997
조용진, 서양화 읽는 법, 사계절출판사, 서울, 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