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용론에 관하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영어공용론’을 둘러싼 논쟁들

제 3장 합리적인 해결 방법 모색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장 서론

‘영어공용론’은 영어와 한국어를 공식적인 언어로 함께 사용하자는 주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복거일은 공용론을 처음으로 제안하면서 민족주의, 사대주의, 애국심 등의 가치를 이렇게 저렇게 사용하여 주장을 펼쳤다. 이에 대해 반대론자는 공용론이 주체적이지 못하고 사대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고, 공용론자는 민족의 이익을 위해 그렇게 주장하는 것이므로 자신은 개방적 민족주의자이고 이를 반대하는 자는 폐쇄적 민족주의자라고 반박했다.
공용론이건 반대론이건 둘 다 일종의 색깔론에 빠져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로의 주장은 각 주장의 극단적인 결말을 강조하며, 서로의 사이에 합리적인 해결점이 없어 보이게 형성되어버렸다. 이러한 방식의 논의는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오히려 공동체의 이익을 계산하는 집중적인 논의가 도움이 될 것이다.
공용론자는 그 이익의 계산 방식을 경제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반대론자는 민족적 시각의 계산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 옳다고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현재는 세계와 발을 맞추어 나가야 할 때지만, 아직 그러한 토대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너무나 극단의 선택을 주장하는 서로의 주장, 어디에도 손을 들어줄 수 없다. 본인은 이렇게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복거일의 주장부터 살펴보면서 다른 주장들도 살펴보고자 한다.

제 2장 ‘영어공용론’을 둘러싼 논쟁들

1998년 시인이자 소설가인 복거일은 ≪국제어 시대의 민족어≫를 통하여 “우리가 이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지구제국’의 변두리” 에 위치하며 중심에서 생산되는 정보와 지식의 흡수 여부에 우리의 생존이 결정된다고 주장하며 정보와 지식의 소통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걷어낼 것을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장애 중 가장 크고 시급한 것이 언어이며, 이미 영어가 공용어로 채택된 많은 나라는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서 두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우선 언어의 가치에 대한 문제이다. 남영신은 저서를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언어와인간 사이에는 경제적인 요인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의 문화, 그들의 정체성, 그들의 철학, 그들의 삶 자체가 그사이에 존재한다. 그래서 학자들은 언어를 인간의 존재 그 자체라고 정의 하는 것이다.

언어를 민족간의 정체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에서 복거일의 ‘도구론’적 입장은 많은 거부감을 불러올 가능성이 컸다. 또한 경제적인 가치를 정서적인 가치보다 우선으로 여기고 있는, 그의 의견은 물질만능주의적 사고로 인식될 가능성도 높다.
다른 한 가지는 공용화의 결과를 너무 긍정적으로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며, 국내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른 일부 국가의 성공사례를 근거로 일반화 시키는 경향이 있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12.2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79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