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기능주의와 기능구조주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조기능주의와 기능구조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T. Parsons의 구조 · 기능주의
1. T. Parsons 사회체계의 구조와 기능
2. AGIL 도식과 일반화된 상징적 교환 매체
→ 정치체계 중심에서… ←

Ⅲ N. Luhmann의 기능구조주의 체계이론
1. 루만에게서 <구조> <기능>이 개념이 갖는 의미
2. 기능적 분화
1) 사회 이론적 토대
2) 자기 준거적 체계로서의 정치
3) 위계와 순환
→ 정치체계 중심에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 체계는 부당한 요구의 상황,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억지로 짜 맞춘 작업"(PO Kap. 6)이라는 상황에 빠져있다. 평화 유지와 이해 조정이라는 목표는 곁으로 밀려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갈등을 결속하는 체계적 의사 결정 대신에, 내용적으로 거대한 목표를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민족적 정체성이나 종교적 정체성을 획득한다는 목표, 복지 국가의 집단적 배려를 추구하거나 정치적으로 나무랄 데가 없는 여론 검열과 윤리 검열을 추구한다는 목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국가가, 예컨대 특정 집단을 특별히 배려한 것과 같은 특별한 목적을 추구하는 순간, 슐레겔이 한 때 [공화주의 개념에 대한 시론]에서 표현했던바와 같이 국가는 "전제적"이 된다.
) PO Kap. 6, Ⅲ. Friedrich Schlegel, Werke in zwei, Bd. 1, Berlin/Weimar 1980, 61 쪽 참조. "특수한 목적을 지닌 모든 국가는 전체적이다. 이 목적이 처음부터 나타난 건, 아니면 설사 무해하게 나타나더라도……."
다라서 정치 체계의 탈분화성은 가능한 한 순수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구체적이고 내용적인 정치 목표에 대한 국가를 억제해야 할 체계적 가치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정치는 세계 사회에 필요한 형태인 집합을 결속시키는 의사 결정으로 환원되어야 한다. 정치가 국지적·지역적 문제 상황에 대해 가능한 한 최대의 근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능력을 분절적으로 유지하는 것, 예컨대 국민 국가에 따라 정치적 목표를 분화시키고, 세계 사회에 어떤 통일적인 세계 국가의 최선두 자리를 마련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별적인 분절들은 상호간에 가능한 한 큰 유사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루만에 의하면 개별적 분절들은 정치적으로 효과적이어야 하며, 내부적으로는 의사 결정 내용을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관철 능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특히 루만에게 개별적 분절들은 국제적 커뮤니케이션의 수신처로 생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내전으로 국가의 정체성을 보장할 수 없어 더 이상 마땅한 수신처가 분명하게 존재하지 않은 경우, 세계 정치적 개입이라는 선택 가능성이 생겨나게 된다. 세계 사회와 세계 사회의 정치 체계는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하기 때문에, 세계 사회는 의사소통적 관할에서 국가의 전 영토를 자유롭게 할 수는 없다. 이제 적절한 개입 형태는 현재에 이르러서야 비로서 발전하기 시작하고 있을 뿐이다.
Ⅳ 맺음말
이제까지 파슨스의 구조·기능론과 루만의 기능·구조주의 이론으로서의 체계이론의 기능적 분화를 간략하게나마 살펴보았다. 특히 이글에서는 각각의 이론이 갖는 구조, 기능의 개념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각 이론의 AGIL 도식과 기능적 분화를 정치체계 중심에서 살펴보는데 주력하였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재차 반복함으로써 그 뜻을 명확히 하는데 힘을 쓰려한다. 우선 파슨스에 있어서 기능은 체계의 구조에 대한 변동가능성을 살피는 것이고 그 기능은 하나의 체계를 유지해 주는 것으로 본다. 고로 구조는 제도화된 역할이 구조를 이룬다고 볼 시 구조에서 개인이 어떻게 동기화되는가 하는 것을 설명해 주는 것이 기능이다. 즉 다시 말해서 구조가 체계의 상수라할시 기능은 변수인고로 구조를 배제한 기능은 불가능하다. 또한 체계는 균형에서의 체계를 말하며 따라서 기능은 체계유지를 위한 필수조건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결국 기능은 균형유지를 위한 제반활동이며, 구조는 체계유지를 위한 제반활동을 말한다. 루만은 이러한 파슨스의 기능 개념과는 달리 행위의 체계적 전략을 기능으로 이해한다. 구람은 기능을 환경의 본질적인 환원으로서 행위자의 자기 준거적 전략을
) 박승길, 사회적 행위의 체계적 전략에 대한 이론 I,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30집 1985.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체계에 선행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기능개념을 목적론적인 과정과 기계론적인 과정을 구분하기 위해 쓰고 있다. 따라서 기능은 사회적 행위가 생각된 의미와 관련되는 행위의 환원활동이면서 곧 사회적 실천이 된다. 곧 행위자가 행위를 창조한다는 것은 곧 복합성과 우연성을 지닌 새로운 환경인 세계를 창조한다는 것으로서 이러한 세계의 복합성과 우연성이 보다 구체화된 가능한 선택행위로 환원시키는 자기 준거적 전략이 체계인 것이다. 곧 한 체계는 그의 선택활동이 전통적으로 갖게 될 때 환경에 대한 체계의 경계를 형성하여 스스로 존재하려함으로써 체계유지는 치계 자체의 질서유지로 파악된다. 한편 구조는 복합성 환원으로서의 체계를 행위자의 생각한 의미 가운데 들어 있는 가치를 자기 준거로 하여 체계의 축소된 가능성을 일반된 가치로 환원시키는 것이 루만에 있어서의 구조 개념이다. 결국 구조는 기대와 기대가 최종행위로써 선택의 자기준거적 전략과 유의미적 관계를 맺기 위해 끊임없이 가치 관련적 자기 준거적 환원이 일어나고 또 요구되는 행위 주체 주관성의 확인의 장인 것이다. 현대 사회학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불러온 기능주의에 대한 두 학자의 견해는 이렇게 마무리를 짓는다.
참 고 문 헌
1. 박미라. 효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도호국단 . 1986.
[T. Parsons의 구조 기능주의와 N. Luhmann의 기능 구조주의 체계이론의 비교].
2. 박영신, [구조. 기능분석론의 이론적 전개과정] 연세사회학, NO.2, 1977
3.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 이론]. 나남출판, 2001.
4. 제프리 알렉산더, 이윤희 옮김. [현대 사회이론의 흐름], 민영사,
5. Reese-Schadfer, Walter. 이남복 옮김. [니콜라스 루만의 사회사상]. 백의
6. 니클라스 루만,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1997.
7. 박승길, 사회적 행위의 체계적 전략에 대한 이론 I,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30집 1985.
9. 탈코트 파슨스 지음. 이종수 옮김. [사회의 유형]. 기린원. 1989
10. 니클라스 루먼. 이남복 옮김. "현대사회는 생태학적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가?".
백의. 2002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12.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