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well-being), 건강담론과 미시권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웰빙(well-being), 건강담론과 미시권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미챰퓐?체계로서의 웰빙/건강담론

Ⅲ. 결론: 미시권력의 균열지점을 찾아서.

본문내용

. 이처럼 개인들은 미시권력이 의도에 순응하기 보다는 이에 저항하고 균열을 내기 위해 노력한다. 권력과 지식, 담론간의 관계를 분석해내고 인간의 삶을 표준화시키고 있는 모습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 그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미시권력의 한계와 균열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푸코가 제시한 '구체적 지식인'의 모습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인간 신체의 표준화와 건강의 과학화를 목표로 하는 웰빙담론 역시 그것이 고도의 소비주의와 결합되어 있고, 인간 신체의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모든 사람이 이에 맞게 살 수는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에서 비판을 시작할 수 있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보여주는 식단과 여행코스, 건강요법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람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그대로 실행하려는 순간에 자신과 웰빙담론 사이의 거리, 즉 미시권력과 자신과의 거리를 느낄 수 있는가 싶다. 동시에 웰빙담론이 강제하는 지식과 담론에 회의하고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현대 철학의 흐름』, 박정호 외, 동녘, 1996
『몸의 사회학』, 크리스 쉴링, 임인숙 역, 나남출판, 1999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오생근 역, 나남출판, 1994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2.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