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미중종교와 한국의 도교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도교(道敎)란 무엇인가?
(1) 도교의 정의
(2) 도교의 특징
(3) 도(道)의 개념
(4) 도교의 성립과정

2. 도교의 역사 전개
(1) 태평도와 오두미도
(2) 천사도
(3) 상청파의 성립과 발전
(4) 도교의 혁신파 신소파, 태일파, 진대도교

3. 도교의 신앙체계
(1) 도교의 신들
(2) 도교의 산악신앙
(3) 도교의 의례
(4) 장생술(벽곡. 복이. 조식 도인. 방중)

4. 도교와 사회윤리

5. 한국의 도교의 성격
(1) 단군신화와 신선설
(2) 과의적(科儀的) 도교

6. 도교의 수용과 그 전개
(1) 도교의 도입
(2) 불교측의 반발

7. 신라의 도교 - 수련적 도교와 방술
(1) 도교의 잡술
(2) 신라의 학인들과 도교
(3) 수련적인 도교의 전승

8. 고려의 도교 - 도교의 재초와 습속
(1) 재초의 거행과 그 종류
(2) 도교 습속

9. 조선의 도교 - 도교비판과 그 변천
(1) 과의적인 도교의 존속
(2) 지식인들의 도교에 대한 태도
(3) 민간의 도교

ꋮ참고문헌ꋮ

본문내용

도교 - 도교비판과 그 변천
조선시대에 와서도 왕실을 중심으로 도교가 선봉되어 대체로 고려의 유제를 계승하였으나 그 규모가 축소되었고, 중고에 유신들의 강경한 반대가 있어서 국가 중십의 도교의식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1) 과의적인 도교의 존속
1392년에, 고려때 쓰던 복원궁·신격전·소전색·대청관·청계배성소 등 제초 거행장소를 폐지하고 소격전 한군데만 두기로 하였다. 1466년 소격서로 개칭하였데 이는 도교 재초를 거행하는 국가의 관서로서 그 직제는 제조 이하 서원 8인과 도류 약간인 및 도학생 10인으로 되어 있었고, 도류의 공과와 도과의 제도가 있었다. 소격서에는 태일전·삼청전 및 내외 제단이 있어 옥황상제를 비롯한 수백에 이르는 도교 제신의 신위를 마련하고, 헌관·서원 및 도류가 분담하여 재초를 종합적으로 집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집행된 재초의 종류는, 성신을 제사하는 성수초, 태양성 및 화성초, 남·북두초, 금성초·태음초·진무초·직성초·형혹기초·혜성기초 등이 있고 그밖에 개복신초·청명초·도병초·기우초·본명초재·진병초·삼원초·삼계초 등 여러가지가 있었다. 중종 때에 조광조가 주도하는 신진사류들이 소격서의 혁파와 왕의 천지신 제사 중지를 고집하여 1518년(중종)에 소격서를 혁파하였다. 한편, 조선시대에도 강화도 마니산의 제천행사는 참성초라 하여 도교의 재초로 거행되었고 소격서 혁파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2) 지식인들의 도교에 대한 태도
1) 김첨과 공부
; 김첨은 도교를 국가적인 종교로 부흥시키기 위해 진력하였는데, 그 목적은 결국 국가의 안녕과 태평을 구하는 데 있었던 것으로, 고구려의 연개소문 이래 국가에서 도교를 숭봉한 의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1404년 김첨이 성수초제를 상정하라는 명을 받았을 때 그는 대청관을 수리해서 천황대제를 초제하려고 하였으나, 권근과 하륜이 강력하게 반대하여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1408년 소격전의 제조로 있던 공부를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딸려보내어 당시 종국의 도교 초사의 법을 배워오도록 하였다.
2) 중종 때 신진사류
: 소격서 혁파의 주장을 강력하게 내세우고 왕실측과 대립하여 간접적으로는 기묘사화의 불씨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3) 임진왜란 이후 관제신앙이 흘러들어와 관왕묘의 건립을 보게도 되지만 과의적인 도교는 쇠퇴하였고 성리학을 표방하는 지식인들은 표면적으로는 도교를 이단으로 물리치는 태도를 취하였다.
(3) 민간의 도교
민간에는 직성기양 같은 성수와 연결되 행사와 습속이 적지 않았다. 도교에서 다루는 성수 중 주요한 것은 칠정사요·남두육성·북두칠성이다. 그 중 남·북두에는 모든사람의 궁함과 통함, 안락과 근심걱정이 다 달려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북두가 더욱 존중되었는데 그것은 지금의 북두칠성과는 달라서 북신성, 즉 북극성을 중심으로한 일곱개의 별을 말하는 것으로 그 핵심은 북극성에 있다. 북극성은 군왕으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수록빈부와 생사화복을 위시한 모든 명운을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었다. <옥추경>은 북극성 경배의 진원이고 또 의약과의 관련이 있어 옥추단이나 벽사문으로 예방하는 습속이 생겨나게 하였다. 이밖에 민간에는 삼재예방, 방위의 길흉, 동토 및 입택의 방법 등 인간만사에 부수되는 예방과 선택에 도교적인 풍습이 있었다. 그 중에도 특이한 것은 맹인, 즉 판수가 독경해서 민간의 제반사를 지시, 해결해주는 구실을 하는 일이었다. 한때는 명통사를 총본부로 하여 계층이 뚜렷한 그들의 조직이 있어 도사 중심의 도교교단과 방불하였다.
10. 도교의 양생론과 도교의학
(1) 도교의 양생론
도교의 수련은 건강을 유지하여 장수를 누리기 위한 방법이므로 그것은 곧 양생법이라고 할수 있다. 김시습은 이론상으로는 불로장생을 꾀하는 것을 반박하였으나 그의 잡저 <수진>과 <용호>에서 도교수련법의 요체를 천명하였다. 한편 주자가 <참동계>와 <음부경>같은 도서에 관심을 가지고 교주작업을 한 것 등에 영향을 받아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까지도 그러한 부류의 도서를 기탄없이 열람하였고 도교적인 수련법에 대한 조예가 깊은 인사들도 나왔다. 이이도 도교적인 방법을 감안한 의약책을 피력하였다. 그는 도교의 연단 등선의 설은 믿지 않으나 도교에서 개발한 창양·황정 같은 연년익수한다는 약물의 사용은 그것 나름의 이치가 있어 받아들일만하다는 태도를 취했다. 유교적인 효행이 강조되던 시대이므로 사친양로를 위해 지식인들이 도교의 양생론과 의약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2) 도교의 의학
<동의보감>은 그 체계정립에 도교의 철리가 솔직하게 받아들여져 있고, 후생과 실용을 존중하는 도교의 특성이 의약의 본의 천명에 적용되어 있으며, 심지어 도교잡술에 속하는 방법까지도 소개되어 있다. 그 밖에도 조선시대의 의서 가운데 도교적인 관점에서 쓰여진 것이 많다. 이종준의 <신선태을자금단방>, 박운의 <위생방>, 정추인의 <이생록>, 정사위의 <이양편>, 이창정의 <수양총서유집>, 최규서의 <강기요결>, 서유구의 <임원십육지> 중 <보양지>등은 다 그러한 의서들이다.
참고문헌
정재서 / 2000 /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 푸른숲
정대철 / 2004 / 노자의 마음으로 도덕경을 읽다 / 한얼미디어
유찬원 / 1998 / 도교철학의 이해 / 돌베게
이용주 / 2003 / 도, 상상하는 힘 / 이학사
정 민 / 2002 / 초월의 상상 / 휴머니스트
구보 노리타나 / 2004 / 도교의 신과 신선 이야기 / 뿌리와 이파리
그 밖에 네이버와 야후자료 검색 참고
◆3조 발표 참여자 명단◆
발 표 자
국통
2
199997144
손병기
그 외
발표
참여자
생명
1
200184039
김호영
PPT작성자
멀티
2
200195105
정종현
세무
2
200391091
황지영
그 외
발표
참여자
멀티
2
200095042
김태현
세무
2
200391059
윤선미
멀티
2
200095132
황병주
무역
1
200197081
한동화
정통
2
200195087
이재홍
환경
3
200084133
최석길
정통
2
200195110
진용우
지역
3
199982061
정건호
경정
4
200196014
권정영
지역
3
199893082
홍순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12.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