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요(農謠)와 환경문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요(農謠)와 환경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농요(農謠)란?

3. 농요의 역할, 그리고 환경과의 관계

4. 현재 농요의 실정

5. 농요의 쇠퇴 원인
1) 사회․경제․정치적 요인
2) 음악․문화적 요인

6. 농요의 쇠퇴가 주는 시사점

7. 농요의 현대사회에의 응용 가능한 대안

본문내용

디법까지 아주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농요를 이러한 것들처럼 문화체험 프로그램 중 하나로 편성하여, 도시 사람들에게도 농요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마지막 방법으로, 실제로 모내기를 하는 현장에서 온 가족이 참여하는 행사를 기획하는 것이다. 아래의 사진은 한 가족이 농촌 현장에서 체험을 하며 감자를 수확하고 있는 모습인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예와 같이 가족이 함께 농촌 현장 체험을 할 수 있는 이벤트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모내기 이벤트를 진행함과 동시에 농요를 자연스럽게 가르쳐 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제시한 대안에 대해 간단히 요약을 하자면, 우선 농요를 마을 문화 행사 종목 중 하나로 지정하여 정기적으로 농요 행사를 개최하고, 도시에서도 그러한 농요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만든다. 그리고 실제로 모내기를 하는 현장에서 온 가족이 참여하는 행사를 기획하여, 사라져가는 농요 자체를 전승시킨다. 그리고 그 다음에, 이렇게 전승된 농요를 바탕으로 대안마을과 오리농법에 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농요를 응용함으로써, 사라져가는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킴과 동시에, 웰빙에 부합하는 질 좋은 식량을 생산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우리가 생각한 농요의 현대사회에의 응용 가능한 대안이다.
8. 맺음말
지금까지 농요란 무엇인가, 농요와 환경과의 관계, 농요의 실정 등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토대로 농요를 현대 산회에서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았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음주가무’를 즐기던 민족 중 하나였다. 그만큼 오랜 세월동안 음악이라는 것을 늘 끼고 살아 왔고, 농사를 지을 때조차도 음악과 함께 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농요이다.
농요란 것은 우리 선조들이 농사를 지을 때에, 함께 일하는 이웃들과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일의 고됨을 덜어 주었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는 만큼 사람의 손이 더 많이 가야했지만, 그렇게 농요를 부르며 농사를 짓던 시절에는 지금보다 훨씬 덜 오염된 농산물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환경이 많이 오염 되었고, 대량생산 체제로 인해 농산물에도 농약과 화학비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질보다는 양을 중시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사회는 또 다시 변하고 있다. ‘웰빙’과 ‘몸짱’이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는 이 현실만 보더라도, 이제는 우리의 삶에 있어서 먹는 것도, 생활하는 것도 ‘양’ 보다는 ‘질’을 추구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값을 좀 더 비싸게 지불 하더라도 농약이 덜 들어간 식품이나 유기농 식품을 먹길 원하고, 무엇보다도 건강한 삶을 살기를 원한다. 한동안 산업사회로 인해 인스턴트적인 생활방식에 길들여져 있던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안정을 되찾게 된 이제서야 자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연을 원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이미 사라져가고 있는 농요의 중요성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았고, 이를 현대 사회에서 응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성들을 살펴보았다. 문화적으로부터의 접근을 시도한 것이어서 다소 감정적이거나 비논리적이라고 생각되어질 수도 있으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현대 산업사회의 환경문제를 감정이 없는 이성으로만 해결하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차원에서 ‘농요’라는 음악을 가지고 환경에의 음악적 접근을 시도해 본 것이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나름대로의 방안을 연구해 보았는데, 그것이 당장 실현 가능성이 100%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응용 ‘가능성’이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는 것 자체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사라져가는 농요에 대한 안타까움과 아쉬움, 그리고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계속 전승해 나가고 싶은 욕심이 반영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회가 변화할수록 사람들은 점점 자연을 찾고, 그리워하고 있다. 앞으로 시간이 지나고 환경이 오염될수록, 옛날의 깨끗한 자연 상태로 돌아가려는 욕구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자연을 소중히 생각하고 예전의 깨끗한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지만 그 때로 돌아갈 수는 없는 것처럼, 농요가 좋은 것이라고 해서 현대 사회에 농요를 재보급하여 모든 농민들이 농요를 부르며 농사를 짓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하지만, 자연을 보호하고 깨끗이 전승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을 연구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제시한 현대사회로의 농요 응용 가능성 대안들도 그 ‘가능성’에 주목했을 때, 분명히 현대 산업 사회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참고문헌 및 시청각자료 ★
국립문화재연구소, 『예천통명농요 중요무형문화재 제84-나호 20』(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________________, 『예천통명농요 20』(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민속학술자료총서편집부, 『농요6』(서울: 우리마당 터, 2004).
우리마당 터 엮음, 『농요 56』(서울: 우리마당 터, 2001).
________________, 『농요 100』(서울: 우리마당 터, 2001).
________________, 『농요 160』(서울: 우리마당 터, 2001).
________________, 『농요 233』(서울: 우리마당 터, 2001).
________________, 『농요 305』(서울: 우리마당 터, 2001).
________________, 『농요 371』(서울: 우리마당 터, 2001).
이소라, 『농요의 길을 따라』(서울: 우리마당 터, 1900).
______, 『한국의 농요(第1輯)』(서울: 현암사, 1992).
______, 『한국의 농요(第2輯)』(서울: 현암사, 1992).
______, 『한국의 농요(第3輯)』(서울: 현암사, 1992).
______, 『한국의 농요(第4輯)』(서울: 현암사, 1992).
______, 『한국의 농요(第5輯)』(서울: 현암사, 1992).
  • 가격3,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2.2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9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