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 패션 디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 패션 디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Ⅱ. 한국적 디자인의 개념

Ⅲ. 한국적 디자인의 형식미

Ⅳ. 국내 디자이너의 작품에 표현된 한국적 디자인의 미적 특징

1) 형태와 소재
2) 색채
3) 문양

Ⅴ. 결 론

본문내용

나 감각, 지각과의 반응과는 특별한 관련을 가지지 않은 채 음양오행설에 의한 색의 상징성과 신분체계에 따른 복식색 제한에 철저하게 얽메여 현대적인 감각과는 다르게 사용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작품17> <작품18> <작품19> <작품20>
대개의 의상에서 색은 독단적으로 쓰이기 보다는 문양이나 소재와 어우러지는 경우가 많다.
단청 색감과 문양을 새롭게 응용한 정장 스타일의 앙상블인 <작품 19>는 검정색의 원피스에 한국적 원색의 명주를 사용하여 정교하게 각각의 색을 이어붙여 자켓으로 완성하였다. <작품 20>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색인 흰색을 사용하여 실크의 반투명한 효과를 살리기 위해 홑겹으로 깨끼바느질 법을 응용하였다. 흑과 백의 대조, 몸에 밀착된 허리선과 대조되는 커다란 칼라와 넉넉한 소매처리가 현대적 감각을 강조하고 있다. <작품 21>은 한국적인 문양에 강렬한 한국적 색감을 모티브로 심플하고 모던한 라인이 전개된 작품들로 위빙 기법을 사용한 작품이다. <작품 22>는 심플한 바디라인의 원피스와 짧은 볼레로 자켓 전체에 한국적인 꽃인 목단꽃을 수놓아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자연에서 얻은 원색을 그대로 사용하므로써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작품21> <작품22>
<작품23> <작품24>
3) 문양
하나의 문양이 성립하는 과정과 그 발생은 종교 혹은 사상적인 의미를 가지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본래의 문양이 가지는 의미는 퇴색하고 단지 장식적인 요소가 더 강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A. Riegl은 '모든 종교적 상징은 그것이 예술 적인 자격을 소유하면 곧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요한 혹은 단지 장식적 모티브로 되는 숙명을 지닌다고 하였다.
<작품 23>은 전통문양의 새로운 해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흉배와 같은 느낌이 나도록 몸판에 라인 처리를 하였고 기와문양의 장식이 시선을 끈다. <작품 24>은 울저지 자켓과 폭넓은 폴리에스터 바지의 매치로 어깨와 소매에 창살문양을 패치워크를 하고 몸판을 핀턱으로 선처리를 하여 창살무늬와 함께 입체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도 당초문양의 변형<작품 25>이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한층 더 느끼게한다.
<작품25>
Ⅴ. 결 론
우리나라 패션계에서는 1980년대 들어 문화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자각으로 인해 한국적인 미를 주제로 한 디자인을 발표하면서, 우리 민족의 정체감을 확인시키며 세계 무대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인 복식미가 어떻게 최근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에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적 디자인의 형식미 요소 중 형태로 인식되는 윤곽선은 전반적으로는 허리를 강조하지 않는 형으로, 자연스러운 유연한 선의 흐름을 그 미적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저고리는 우리나라 조형예술의 정수인 '선의 미'를 창출하고 있었고 치마는 주름에 의한 드레이프 미를, 바지와 스커트는 풍성하고 여유있는 형태미를 보였다. 한국 복식에 나타난 고유한 색채 현상은 '백색의 애호' 현상과 자연의 현상에서 보이는 대비색 조화, 미묘하고 섬세한 유사색 조화, 절제된 무채색 조화 등이 있었다. 소재에 있어서는 거칠고 투박한 재질을 통해 생동감을 표현하고, 곱고 부드러운 재질을 통해 섬세하고 부드러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장식 문양에서는 자연적 모티브에 대한 사실적 표현과 양식적 표현이 많았다.
한국적 복식미의 고찰을 바탕으로 1980년대 이후 한국적 디자인을 꾸준히 모색해 온 우리나라의 패션 디자이너들의 의상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외형적인 측면에서 보여지는 한국적 디자인의 특성은 전통적 요소의 응용이나 재현적인 요소가 강해 국제주의보다는 지역주의에 치우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현대디자인, 특히 패션 산업디자인은 과학적이면서도 합리적이고 소비자의 의식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가 되찾야할 한국적인 것은 우리 전통의 형태와 소재, 색채, 문양 등의 가시적 실채를 끄집어내어 현대의상에 대입 절충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의 상황에 맞는, 즉 현대에 있어서의 '한국성'의 의미를 철저히 파악하여 한국적이면서도 완전히 현대적인 의상을 창출해 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국제주의적 보편성에 지역주의적 전통성을 접목시켜 우리나라 특유의 디자인을 창조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참고문헌 : http://www.paichai.ac.kr/%7Ethesis/_data/_art/413.html
http://www.not-alone.net/wr_14.htm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1.10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