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정부 정부혁신의 비판적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 김대중정부 정부혁신의 신자유주의 성향
1. 김대중정부 개혁정책의 모호성
2. 김대중정부 정부혁신의 신자유주의 성향
Ⅲ. 김대중정부 정부혁신의 한국적 적실성
1. 작은 정부의 한국적 적실성
2. 기업형 정부의 한국적 적실성
Ⅳ. 결론

본문내용

제고 :도전과 기회. 「한국행정학보」, 28(4).
김호진. (1999), 김대중정부의 국가개혁: 특성과 가능성, 「정부학연구」, 제5권 제2호, 157-176
김흥률. (1996). 기업가형 정부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행정논집」, 8(4): 795-812.
남궁근. (2003), 참여정부 정부혁신의 이념과 목표, 한국행정학회 기획세미나 발제논문
노중기. (1998). 김대중정부의 노동정과 노동정치. 이병천·김균 편.
「위기,그리고 대전환-새로운 한국경제패러다임을 찾아서」,427-456.서울:당대.
민 진. (1998). 한국과 영국의 행정개혁비교. 「한국행정학보」, 32(4): 37-52.
박수경. (2002), 신자유주의 맥락에서 본 정부조직개편의 비판적 논의: 재정경제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1권 제2호, 217-243
박우순. (2002), 김대중정부 조직개편의 성과와 전망, 「한국행정연구」, 제11권 제2호, 41-74
박천오. (1997). 고객지향적 행정 : 실천상의 의문점과 한국관료의 시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31(2):1-19.
박광주. (1998). 정부개혁, 규모의 문제가 아닌 효율성의 문제이다. 「동북아」, 제7집 봄호.
박세정. (1996). 조직구조 및 관리의 개선. 「한국행정연구」, 5(2).
박재환. (1998). 작은정부, 열린 정부, 깨끗한 공무원. 한국공공정책연구소(편), 「국가혁신의 비전과 전략」,129-174.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박희봉·김상묵. (1998). 외국행정개혁과 김대중정부 행정개혁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32(4): 19-36.
안병영. (1999). 김대중정부가 빠질 수 있는 신자유주의 함정. 「신동아」1999년 4월호.
안병영. (2000).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충격과 대응. 안병영·임혁백(편),「세계화와 신자유주의」, 25-55. 서울: 나남출판.
윤성식. (2002), 「정부개혁의 비전과 전략」, 서울: 열린책들
윤태범. (1999).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목표관리제(MBO)의 전략적 추진과 활용-결과에서 과정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이근식. (1999). 「자유주의 사회경제사상」. 서울 : 한길사.
이병천. (1998a). 디제이노믹스는 우리의 희망인가?.「당대비평」, 가을-겨울호 : 285-312.
이병천. (1998b) 한국경제패러다임의 반성과 전망. 이병천·김균 편.
「위기,그리고 대전환-새로운 한국경제패러다임을 찾아서」,11-45. 서울:당대.
이종범. (1995). 기업형 정부의 구축방안. 「한국행정연구」, 4(1): 22-45.
임현진. (1998). 「지구시대 세계의 변화와 한국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산업연구원. (1999). 「민주주의와 시장경제-DJ노믹스의 이론적·경제사적 고찰」. 서울 : 산업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편). (1997). 「민영화와 한국경제」.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손호철. (2000). 한국의 신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안병영·임혁백(편),「세계화와 신자유주의」, 375-401. 서울: 나남출판.
송문홍. (1999). DJ리더쉽, 아직 비전이 안보인다. 「신동아」 199년 3월호, 94-115.
재정경제부·한국개발연구원. (1998).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 서울 : 대한민국 정부.
정무권. (2000).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안병영·임혁백(편),「세계화와 신자유주의」, 319-370. 서울: 나남출판.
정승건. (1999). 「한국의 행정개혁-정치권력과 관료제의 관계」, 부산 : 부산대 출판부.
총무처. (1982), 「행정개혁사-10.15행정개혁을 중심으로」.
총무처직무분석기획단, (1997).「신정부혁신론」. 서울:동명사.
행정개혁위원회. (1989), 「행정개혁에 관한 건의 」.
행정쇄신위원회.(1994,1995,1996,1997). 「행정쇄신백서」.
허철행. (2000), 김대중정부 신자유주의 정부혁신의 비판적 검토, 한국행정학회 2000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Kettl. Donald F. . (1996). Governing at the Millenium. in James L. Perry, ed., Handbook of Public Administsation, 2nd. ed., 5-18.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
Moe, Ronald. (1994). The 'Reinventing Government' Exercise: Misinterpreting the Problem, Misjudging the Consequence. Public Administretion Review . 54(2):213-215.
Osborne, David & Ted Gaebler. (1994). 「정부혁신의 길」, 삼성경제연구소(역).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Addison-Wesley.
Osborne, David &. Peter Plastrik. (1998). 「정부개혁의 5가지 전략」, 최창현(역).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Banishing Bureaucracy. Massachusetts: Addison Wesley Longman, 1997.
Rhodes R. A. (1996). The New Governance: Govrening without Government. Political Studies. 44(4): 652-667)
Simon. Herbert A..(1998). Why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58(1):ⅱ.
Terry, Larry D.. (1998). Administration Leardership, Neo- Managerialism, and the Public Management Mov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8(3):194-200.
  • 가격1,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3.0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