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의 특징과 강원도 방언의 특징 및 예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언의 특징과 강원도 방언의 특징 및 예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방언의 의미
1.강원도 방언의 특징
1) 성조 :
2) 음장 :
3) 고저, 장단의 복합적 시차 기능 -
(1) 체언의 경우
a. 곡용
b. 복합어
(2) 용언의 경우

2.구체적 예문 50가지

본문내용

와주쇼")
31.부루: '상추'의 방언(강원도)
"고기먹는데 부루는 안챙겨왔어?"
(="고기먹는데 상추는 안챙겨왔어?")
32.멍석딸: '야생의 왕딸기'의 방언(강원도)
"뒷산에 멍석딸 많이 열렸던데 가서 따먹자"
(="뒷산에 야생 왕딸기 많이 열렸던데 가서 따먹자")
33.마마꾸: '민들레'의 방언(강원도)
"마마꾸가 많이 핀게 참 보기 좋다"
(="민들레가 많이 피어있는것이 참 보기 좋다")
34.아제비: '미혼의 삼촌'의 방언(강원도)
"아제비요 어디가요?"
(="삼촌 어디가요?")
35.하뇨하다: '한가하다'의 방언(강원도)
"나 오늘 하뇨한데 놀아줘라"
(="나 오늘 한가한데 놀아줘라")
36.정낭:'화장실'의 방언(강원도)
"정낭가기 무서운데 같이 가자"
(="화장실가기 무서운데 같이 가자")
37.초롱: '물동이'의 방언(강원도)
"초롱 들고 오기 힘들지 않았나? 여기 와서 쉬어"
(="물동이 들고 오기 힘들지 않았나? 여기 와서 쉬어")
38.고라댕이: 골짜기의 강원도 사투리
"저 고라댕이에 버섯이 엄청나게 많다며?"
(="저 고라댕이에 버섯이 엄청나게 많다며?")
39.날래: '빨리'의 방언(강원도)
"날래 날래 오라우"
(="빨리 빨리 오라우")
40.앵간히: '적당히, 어지간히'의 방언(강원도)
"앵간히 쫌 하소"
(="적당히 쫌 하소")
41.임내: '흉내'의 방언(강원도)
"저 사람 임내 내지마라 알면 속상하잖겠어?"
(="저 사람 흉내 내지마라 알면 속상하잖겠어?")
42.느릉극: '메밀국수'의 방언(강원도)
"느릉극 한 사발 먹고 갑시다!
(="메밀국수 한 사발 먹고 갑시다!)
43.꿀밤: '도토리'의 방언(강원도)
"꿀밤 어딨는지 알아요?"
(="도토리 어딨는지 알아요?")
44.개락: '매우 많음'이 방언(강원도)
"시장에 갔더니 사람이 개락이더라"
(="시장에 갔더니 사람이 매우 많더라")
45.맨지기: '바보, 멍청이'의 방언(강원도)
영동지방에서 멍청한 행동을 한 사람에게 주로 씀
"맨지기 같이, 그그도 모르나?"
(="바보 같이, 그것도 모르나?")
46.노치: '메밀로 만든 부침개'의 방언(강원도)
노치는 울진지방에서 부침개 또는 전을 뜻하는 말이며,
정선지방에서는 메밀로 만든 부침개를 일컫는 말입니다.
"노치 먹자"
(="메밀 부침개 먹자")
47.씨겁하다: '혼이 나다, 엄청 놀라다'의 방언(강원도)
"어제 밤에는 으스름 달밤에 공동묘지를 지나오는데 무수와서 씨껍했잖소"
(="어제 밤에는 으스름 달밤에 공동묘지를 지나오는데 무서워서 씨껍했잖소")
48.옥시끼: '강냉이'의 방언(강원도).
"어이 김씨! 여 와서 옥시끼 좀 먹게"
(="김씨! 여기 와서 옥수수 같이 먹지 않겠오")
49.꺼주하다:'초라하다. 초췌하다'의 방언(강원도)
"오늘따라 네 모습이 꺼주한거 같다."
(="오늘따라 네 모습이 초췌한것 같다.")
50.깔뚝국시: '메밀국수'의 방언(강원도)
정선에서 쓰는 말로 메밀국수란 뜻.
"여름에는 깔뚝국시를 시원하게 먹으면 좋지"
(="여름에는 메밀국수를 시원하게 먹으면 좋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2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