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r Karl Riamund Popp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ir Karl Riamund Popp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기
2. 사상

본문내용

. 보조 가정들은 고도로 이론적인 진술들일 경우가 많다. 우리가 A를 검증할 수 없다면 우리는 방금 기술한 식으로 연역 논증을 사용해서 T를 반증할 수가 없다.
여기서 포퍼의 실천론 적인 측면 즉 사회 철학의 면에서 더 살펴보자.
포퍼는 과학철학을 사회에 적용 포퍼는 과학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열린 사회'를 주창한 사회철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실 그의 사회철학은 자신의 독창적 과학철학의 기본원리를 그대로 사회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그는 `내가 잘못이고 네가 옳을 수 있다. 그리고 노력함으로써 우리는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다'는 비판적 합리주의의 관점에서 일관성 있게 '인간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철학의 대상으로 삼았다. 과학적 지식이 경험을 통해 오류를 제거함으로써 성장하듯이 사회는 시민과 언론이 정부의 정책을 비판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발전한다는 것이다.
열린 사회란 국가가 제공하는 상호 보호의 틀 안에서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자유로운 개인들의 결사체이다. 이 사회에서 개인은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진다. 국가가 개인의 생활을 완전히 규제하는 집단주의적인 사회가 닫힌 사회이다. 열린 사회에서는 비판과 토론이 보장되고 정부의 정책은 그것을 통해 수정된다.
포퍼는 완전한 사회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완전한 사회에 대한 꿈을 버리고, 이 세상을 좀더 좋은 사회로 만들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을 그는 점진적 사회 공학이라 부른다. 그는 비판적 이성의 힘을 신뢰하였기 때문에 20세기에 자행된 참상과 비인간적인 현실을 목도하면서도 이 땅에서 비참함과 폭력을 줄이고 자유를 신장할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믿음과 달리 폭력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희망이 달성될 수 있다고는 믿지 않았다. 혁명적인 방법은 상황을 더욱더 악화시킬 뿐이다. 불필요한 고통을 초래하고 더 많은 폭력을 불러오고, 자유를 파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포퍼는 과학철학이나 사회 철학이나 공통된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방법론은 공히 문제에 대한 계속적인 해결책 제시를 특징으로 한다. 제시된 해결책은 검토되고 비판되는데, 그 과정에서 해결책이 적절한 비판에 대해 열려 있지 않으면 비과학적인 것으로 폐기되며, 해결책에 대한 반증이 발견되면 다른 해결책을 강구하게 된다.
따라서 과학의 방법은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잠정적 대답의 연속으로 특징지어지면, 포퍼는 이를 '가차없는 비판에 열려 있는 추측'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비판적으로 인도되는 시대착오의 방법이 과학발전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인식론적 기반에서 포퍼는 사회역사적 현상에 대해 접근한다. 그는 자신의 방법을 '점진적 사회공학'이라고 부른다. 이 공학은 거대 이론의 개발에 무관심하며, 점진적 단계적 이론 구성을 지지한다. 점진적 사회공학자는 인간 지식이 잠정성과 한계성을 잘 인지하고 있고, 그것은 반증 가능성을 투철하게 깨닫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회 개혁이 가져올지 모르는 예기치 못한 결과들을 신중히 측량하면서 단계적으로 조심스럽게 나아간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0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