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와 <동명왕편>의 내용의 측면에서 두 신화의 같고 다른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군신화>와 <동명왕편>의 내용의 측면에서 두 신화의 같고 다른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웅의 일생 구조
⑴ 「단군신화(檀君神話)」
⑵ 「동명왕편(東明王篇)」

2. 죽음과 재생
⑴ 「단군신화(檀君神話)」
⑵ 「동명왕편(東明王篇)」

3. 변신 모티브
⑴ 「단군신화(檀君神話)」
⑵ 「동명왕편(東明王篇)」

4. 그밖에

본문내용

를 위해 환웅이 잠시 인간으로 변해 웅녀와 정을 통하는 부분이며, 마지막 부분은 단군이 최후에 아사달에 돌아와 산신이 되는 부분이다.
⑵ 「동명왕편(東明王篇)」
동명왕편에서도 변신 모티브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로 유화가 해모수에게 잡혀 갔다는 것을 안 하백이 다양한 도술로써 해모수와 겨루는 부분이다. 하백이 각각 잉어와 꿩으로 변신하니 해모수는 그에 수달과 시랑이 되어 대응한다. 이 변신 대결을 통해 성혼을 이루게 된다.
두 번째 부분은 동명왕의 탄생부분이다. 동명왕은 언급했듯이 알로 탄생한다. 그리고 유화부인이 그 알을 보살피면서 동명왕이 탄생하게 되는데, 이 역시 알에서 인간으로의 변신이라 볼 수 있다.
4. 그밖에
구조적인 면에서 「단군 신화」와 「동명왕 신화」는 신화의 뼈대를 이루는 사유 방식에서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두 편 다 삼대기(三代記) 구조
) 단군신화는 '환인-환웅-단군'으로, 동명왕편은 '해모수-동명왕-유리왕'으로 삼대기 구조로 볼 수 있다.
며, 시간 구조에 있어서도 일치를 보인다. 또한 두 여인 웅녀와 유화도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치에도 불구하고, 두 신화는 다음과 같은 차이도 보여 준다.
첫째, 「단군신화」에서 환웅이 인간세상에 홍익인간의 뜻을 두고 내려왔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군신화의 세계는 커다란 투쟁이나 갈등이 거의 없는 세계이다. 반면에 「동명왕신화」의 경우, 해모수와 하백의 대결, 동명왕과 금와왕 왕자들과의 갈등, 동명왕과 송양의 대결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투쟁과 갈등의 세계이다.
둘째, 「단군 신화」의 단군은 환웅과 동물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의 사이에서 태어나서 혈통의 신성성을 부여받는다면 「동명왕 신화」의 동명왕은 하백과 해모수의 자손이라는 점보다 난생(卵生)이라는 점이 더욱 탄생의 신성성을 부여받는 점이라는 게 차이가 난다.
<참고 문헌>
김용진, 「국조신화에 나타난 통과의례의 양상」, 『안양전문대학논문집』, 18권, 1995.
유억종, 「신화교육론 : 「단군신화」와 「동명왕신화」를 중심으로」,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강좌(上)』, 창작과 비평사, 2001.
이규보(박두포 譯), 『동명왕편』, 을유문화사, 1991.
일연(최일 譯), 『삼국유사』, 홍신문화사, 1991.
장덕순, 『국어국문학 총설(11), 설화문학 개설』, 삼우출판사, 1976.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1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