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방언의 어휘적 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조사 과정

3. 어휘적 특징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경주)
노란자위(활음탈락)→노란자이(끝음절 절단)→노란자
흰자위(활음탈락)→흰자이(끝음절 절단)→흰자
※ 다섯자→다자(절단), 여섯자→여자(절단)
(5) 기타 특징적인 사례
● 네 지역 모두 '다르다'를 쓸 문맥에서 '틀리다'를 대체해 사용하고 있음.
무늬 : 무´노 : 무느, ※ 무늬가 다르다: 무느가 틀링는다. : 무니 : 무´니
● 함부로 : 함부레 : 함부로 : 함부로 : 함부레
아예 : "첨부터, 함부레" : 함부로 : 함부로, 함부레 : 조사누락, 함부레(?)
울진, 영덕. 포항 지역에서는 '함부로'라는 뜻의 방언형과 '아예'라는 뜻의 방언형이 동음관계에 있어 동음충돌을 일으키고 있다.
<참고 문헌>
고려대학교 민속언어조사단(1973), 울릉도 언어조사보고, <어문논집>14·15, 고려대학교.
고영근(1978), "형태소의 분석한계", 『언어학』 3.
곽충구(1992), "근대국어 시기의 방언과 방언 분화", 『동양학』 22.
김대현(1984), "南後地域語의 使動化와 被動化 硏究", 대구대 석사논문.
김덕호(1997), 경북방언의 지리언어학적 연구, 경북대 국문과 박사학위논문.
김충회(1991), 『충청북도의 언어지리학』, 단국대 출판부.
김태엽(1994), "방언 문법 연구의 성과와 전망", 『인문과학』 10, 경북대학교.
류구상(1975), "남해도방언의 일반적 고찰", 『어문논집』 16, 고려대학교.
박정수(1993), "변동규칙에 의한 경남방언의 분화 연구," 동아대 박사논문.
박종갑(1998a), 울릉도 방언의 어휘론적 연구, <울릉도·독도의 종합적 연구> pp523-57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______(1998b),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 조사(어휘편 Ⅰ). 한민족어문학 제33집, 한민족어문학회.
______(1999),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 조사(어휘편 Ⅱ). 한민족어문학 제34집, 한민족어문학회.
서재극(1962), 경북방언연구:문헌상에 나타난 자료를 중심하여 , 『어문학』 8, 한국어문학회.
소창진평(1924), 『남부조선의 방언』, 제일서방.
신승원(1990), "영풍지역어의 분화 양상," 『영남어문학』 17, 영남어문학회.
오종갑(1982), 칠대만법에 나타난 경상도방언적 요소, 『긍포조규설교수화갑기념 국어학논총』, 형설출판사.
유창균(1989), "경상도 방언의 원류와 그 성격", 『한국학논집』 16, 계명대학교.
이기갑(1986),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탑출판사.
이기문.김완진.최명옥.곽충구.이승재.김영배(1991), "한국어 방언의 기초적 연구", 『학술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30.
이기백(1969), 경상북도의 방언구획, 『동아문화』 3, 계명대학교.
이상규(1986), 『방언학 개설』, 경북대 출판부.
______(1988), 『방언 연구 방법론』, 형설출판사.
______(1989), 『韓國方言資料輯:경북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______(1992a), "경북방언 연구의 성과와 전망", 『南北韓의 方言 硏究:그 현황과 과제』.
______(1994), <경상북도방언자료집>, 경상북도 문화체육과.
______(1999), <경북 방언의 문법 연구>, 박이정.
이상민(1992), "울산방언 동사의 접미사화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이승재(1980), "남부방언의 형식명사 '갑'의 문법", 『방언』 4.
______(1983), "재구와 방언분화," 『국어학』13, 국어학회.
이익섭(1981), 『영동 영서의 언어분화』, 서울대 출판부.
______(1984), 『방언학』, 민음사.
이현규(1995), 『국어 형태 변화의 원리』, 영남대 출판부.
정승철(1989), "경기 충청 지역의 방언분화," 『국어국문학』102. 국어국문학회.
천시권(1963), "경북지방의 방언구획," 『어문학』13, 한국어문학회.
______(1973), "경북방언의 형태론적 연구", 『청계 김사엽박사 송수기념논문집』.
______(1975). "경북방언의 의문첨사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7. 대구교대 국어교육연구회.
최동주(1998), 울릉도 방언의 문법, <울릉도·독도의 종합적 연구> pp481-52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______(1999), 울릉도말의 어미--북면 천부리의 말을 중심으로--, 성백인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언어의 역사>, pp241-247. 태학사.
최명옥(1980), 『경북 동해안방언 연구』, 영남대 출판부.
______(1982), 『月城地域語의 音韻論』, 영남대 출판부.
______(1986), "동남방언의 연구와 특징에 대하여," 『국어생활』7, 국어연구원.
______(1992a), "경상북도의 언어지리학:부사형어미 '아x'의 모음조화를 중심으로," 『진단학보』73.
______(1992b), "경상남북도간의 방언분화 연구", 『애산학보』13.
______(1994),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 <韓國方言調査質問紙>.
__________________(1980), <韓國方言調査質問紙> (그림책〕.
__________________(1989), <韓國方言資料集> Ⅶ(경상북도 편).
__________________(1990), <韓國方言資料集>Ⅱ(강원도 편).
__________________(1993), <韓國方言資料集> Ⅷ(경상남도 편).
한영균(1984), 강원·경북 울릉·제주방언의 현지조사과정과 반성, 『방언』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홍윤표(1991), 방언사 관계 문헌 자료에 대하여 , 『남북한의 방언 연구, 그 현황과 과제』, 경운출판사
황대화(1995), <동해안방언연구>, 한국문화사.(원래 1986년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에서 같은 책명으로 출판된 것을 1995년에 영인한 것임).
Chambers, J. K and Trudgill, P.(1980), Dialectology, Cambridge Univ. Press.
Francis,W.N.(1983), Dialectology : An Introduction, London and New York:Longman.
  • 가격2,5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