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사회와 지식근로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지식산업사회의 등장
□ 지식산업사회와 지식
□ 지식산업사회의 특징

Ⅲ. 기업경영과 환경
□ 경영환경의 변화
□ 지식경영의 등장

Ⅳ. 지식산업사회와 지식근로자
□ 지식근로자의 개념
□ 지식근로자의 특징
□ 지식산업사회에서 지식근로자의 과제

Ⅴ. 맺음말

본문내용

정보를 수집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가공하여 자신의 글의 기초로 삼는 드러커 교수처럼 말이다. 지식사회에서 기억력이 아니라 창의력과 응용력이 더 강조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③ 끊임없이 배우는 학습능력
오늘 최첨단 기술이 내일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세상이다. 사무용 기기를 예로 들면, 필자가 30년 전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할 때는 주판으로 일을 했지만, 그후 전자계산기로, 메인컴퓨터로, 미니컴퓨터로, 지금은 PC나 휴대용 컴퓨터로 하고 있다. 그것도 매 2~3년마다 신제품이 나오는데 그때마다 가격은 더 싸고 성능은 더 좋아지고 있다.
또한 우리가 초중고 시절에 배운 지식은 20년마다 반으로 줄어들고, 대학에서 배운 지식은 10년마다, 기업의 교육훈련은 5년마다, 컴퓨터 관련 지식은 1년마다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끊임없이 습득하지 않으면 곧 뒤지기 때문에 평생교육을 받아야만 한다.
④ 자원봉사자의 마인드
앞에서 말했다시피 지식사회에 있어서 근로의 문제는“어떻게가 아니라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이다. 그런 의미에서 피터 드러커는 근로자들에게 자원봉사자와 같은 의식을 같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Ⅴ. 맺음말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현대기업의 성패는 지식경영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경영학자들은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세계적인 기업들의 성공비결을 지식경영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들의 메시지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개인이나 조직, 국가가 지식을 얼마나 많이 창출하고 공유하며 활용하느냐에 따라 한 국가의 명운이 갈린다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지식 사회로의 변동은 이제 막을 수 없는 물결이다. 21세기의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하여 예측할 수 없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눈앞의 변화에도 대응하기 급급한 상황이 되었으며, 인간 활동의 토대이자 촉진 요인인 지식의 시공간적 변화의 한계도 이제는 가늠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산업사회에서는 지식의 창출이 성패의 원동력이고 지식의 창출은 창의성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지식근로자는 창의성을 발달시키기 위해 많은 교육을 통해 창의성 구현을 위한 전문성을 갖도록 노력을 하여야 하고 기업은 개인이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자율성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조직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피터 드러커 - 현대경영의 정신 2002
노나카의 지식경영 1998
매일경제 - 「지식혁명 보고서」1999
기업과 사회 강의내용
http://gnib.mytripod.co.kr/e-consult/e-consult_know.htm
http://gnib.mytripod.co.kr/e-consult/e-consult_man.htm)
http://www.jklee.com/data17.htm)
http://rpi.dongguk.ac.kr/~rpi/bank/4/html/14.html)
http://www.sunmoon.ac.kr/~baik/data/e-biz)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