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차별의 실태와 원인 및 해결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대 차별의 실태와 원인 및 해결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들어가며

ꊲ 수도권지방의 대학과 지방대학간의 차별현상 및 불균형 현상

ꊳ 지방대 소외현상의 원인

ꊴ 마치며

본문내용

있는 대학이 수도권과 지방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버림을 받고 있는 것은 참으로 잘못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1999년 현재 전국의 184개의 4년제 대학 중 38.0%(70개)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고 나머지 62%(114개)는 지방에 소재하고 있다. 일반대학만을 보면 약 59%가 지방에 소재하고 있다. 184개 대학에 재학하는 재학생수는 약 1,587,700명 규모이며, 이중 수도권 대학에 39.7%, 그리고 지방대학에 60.3%가 재학하고 있다. 2000학년도 대학입학정원은 총 359,650명이며, 이 중 수도권 대학의 비중은 34.1% 그리고 지방대학의 비중은 65.9%이며 지역별 고3 학생수 대비 입학정원의 비율을 보면 지방대학은 53.4%에 불과하다.
수치상으로 보면 지방대의 수도 훨씬 많고 학생 수도 엄청나게 많다. 하지만 지방대학 출신이라는 이유로 그 많은 인재들이 사회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아깝게 썩어가고 있다. 이는 곧 지방의 위기요, 나아가서는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다.
과거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을 선발할 때는 지역할당제라는 것이 있었다고 한다. 지역별로 반드시 몇 명을 선발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현대에도 그런 지역할당제를 도입하자고 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으나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는 모르겠다. 그리고 선진국의 제도나 사례들도 한 번쯤 돌아보고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고 하여 선진국의 제도나 과거에 시행했던 제도들을 그대로 받아들여 시행하자는 말이 아니다. 현대 대한민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이나 보완을 하여 도입하자는 말이다. 이번 2002년 월드컵에 히딩크 감독을 보라. 유럽이나 남미의 축구를 그대로 도입한 것이 아니다. 그것을 모태로 하여 한국인에 맞는 한국식 축구를 구사한 것이다. 그 결과로 한국은 월드컵 4강이라는 기적과 같은 성과를 거두어 들였다.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 실정에 맞게 한 번쯤 따져보고 생각을 해보라는 말이다. 의도가 좋으면 대책은 머리를 맞대고 논하면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 본문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과제로 남기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1. 지방분권과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 -사단법인 대구사회연구소-
2. 이현청.『학생소비자시대의 대학 개방시대의 대학』.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6.
3. 김봉걸.『한국의 대학, 어제와 오을 그리고 내일』.서울 : 대학서림. 1997.
4. 신문기사검색 (www.kinds.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03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