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의 이단문제와 대학의 이단문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교회의 이단문제와 대학의 이단문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II. 초대교회의 이단 사상들 1
1. 에비온파 2
2. 영지주의 3
1) 영지주의의 구원론 4
2) 영지주의의 우주론 4
3) 영지주의의 윤리론 4
4) 영지주의의 기독론 5
3. 마르시온주의 5
4. 몬타누스주의 6
III. 대학을 향한 이단의 침투 7
1. 대학 내 이단동아리 실태 파악 8
2. 대표적인 대학 활동 이단 현황 11
1) 통일교 11
2) 정명석파 11
3) 김기동파 12
4) 기(氣) 사상의 침투 12
3. 대학선교를 위한 방향성 제시 13
IV. 결론 14
참 고 문 헌 15

본문내용

뉴에이지라는 기형아를 탄생시킨 것이다. (현대종교, 1997:35-36)
3. 대학선교를 위한 방향성 제시
예전에 비해 한국교회는 해외선교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다. 개교회 마다 많은 성도들이 선교에 헌신하고, 교회는 선교사를 후원하고, 파송하고, 지원하는 일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반면에 캠퍼스 선교에 대해서는 해외선교에 비해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 같다. 대부분의 선교 헌신자들이 대학시절 선교단체 등을 통해 주님을 영접하고 선교에 대한 VISION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 말은 대학선교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대언하고 있다. 지금은 해외에 많은 선교사를 보낼 수 있을 지는 모르지만 미래에 대학 선교가 침체된다면 선교 헌신자를 구하기 힘들지도 모른다.
대학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흔히 사용하는 말이 있는데, "오늘의 대학 복음화는 내일의 민족 복음화이다. 민족 복음화의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내일의 지도자인 대학생을 복음으로 무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말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실제적으로 많은 선교단체들이 대학을 향한 학생복음운동을 주도하고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 대학 복음화는 선교단체들의 대학문화에 대한 적절한 복음주의적 대응이 미흡함을 통해 그들만의 노력으로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IMF이후에는 경제적 위기로 인해 대학문화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물질 뿐만 아니라 영적인 위기까지도 몰고와 젊은이들에게 혼란을 가져왔다. 더욱 거침없이 밀려오는 이단의 세력은 더욱 젊은 청년들을 혼란시키고, 기독학생들 조차 이들로 인해 위기 상황으로 몰리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경제적, 영적인 혼란 상황에서 그리스도께서 주신 사명을 '선교'라고 부르짖는 지역교회에서는 무엇을 하였는가? 또한 선교단체에 속한 학생들의 점점 사라져 가는 교회 봉사에 대한 안타까움을 우리는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질문을 해본다.
IV. 결론
초대 교회에 나타난 이단 사상들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가에 넘쳐나는 이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초대교회에서 있었듯이 대학의 이단들을 연구하면서 지금도 초대교회 때와 마찬가지로 기독교 이단이 파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 이단은 늘 존재해 왔다. 역사적으로 우리 신앙의 뿌리를 더듬어 볼 때 거기에는 수많은 인간의 오류와 시행착오 속에서 진리인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지켜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어렵게 얻은 신앙의 방법을 우리는 더 깊이 연구하고 다듬어서 오늘의 우리 신학이 갈 길의 지표로 삼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한 것이다.
지금의 한국 대학은 이단들의 천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외로움과 포스트모더니즘과 경쟁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 정신적 공황을 이단들이 이용하고 있다. 대학에 대해서 포교에 관심을 가지고 집요하게 파고들고 있는 이단들의 모습들을 볼 때 대학선교는 결코 여유 있게 바라 볼 수 있는 과제가 아님을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는 자각해야 한다. 이단사상들을 하나의 지식으로 치부해 버린다거나 비판을 가하기 위해서 이단사상들을 연구한다는 것은 퇴색해가는 낙엽과 같은 하나의 학문으로 끝나버리기 쉽다. 그렇기에 우리들에게 주어진 과제라면 이런 역사적 고찰들이 현실에 바로 적용되도록 실제적 접근에 대한 연구가 더더욱 필요함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참 고 문 헌
국내서적
박영관
1994 이단종파비판, 서울: 예수교 문서 선교회.
박용규
초대 교회사. 총신대학 출판부. p. 177.
탁명환
1986 '기독교 이단연구' 서울; 국제종교 문제연구소
차종순
1992 '교회사' 신학 연구도서 시리즈5, 서울;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국
외국서적
Paul Tillich
1983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J. L. Neve
1991 '기독교 교리사' 서남동 역.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Gonzales, Justo. L
1989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이 형기 차 종순 역 '기독교 사상사 I' 서울; 대한 예수교 총회 출판국
월간지
현대종교
2000 JMS의 캠퍼스 대응전략과 전국 지교회 현황, 4월호.
1997 소용돌이 치는 문화와 휘몰리는 청년들, 3월호.
단학선원, 10월호.
1996 대학가 이단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7월호.
1992 대학가 이단 정도 넘어, 8월호.
인터넷
http://chem. postech.ac.kr/∼hbj/news/debate.hteml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05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