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비스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위해 의미있는 엔트리와 그렇지 않은 엔트리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9. 사설 UDDI와 디자인 타임 또는 런타임 검색
사설 UDDI의 UDDI 엔트리 컨텐트는 몇 가지 유형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유형에는 파트너 카탈로그 UDDI와 같이 인증된 파트너만 포함하는 경우와 WSDL 기반의 tModel에 의해 인증되는 경우가 있다. 서비스를 발행할 때는 요청자 애플리케이션이 사설 UDDI에 대한 find 호출을 하고 그 결과로 반환한 엔트리를 이용해 웹 서비스와 바인딩 하는 프로그래밍 모델을 이용한다.
10. 웹 검색엔진으로써의 UDDI 레지스트리
앞으로 검색엔진은 키워드 검색뿐 아니라 웹 사이트의 능력을 검증 할 수 있을 것이다.
원하는 조건에 맞는 상품을 보여주고 구입도 가능하게 할 것 이다.
UDDI가 HTTP,SOAP,WSDL 등의 기술과 함께 이러한 스마트 웹 검색엔진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11. UDDI 현황
일본의 경우, NTT가 2001년 12월에 UDDI운영자협의회(UDDI Operators Council: UDDI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IBM, 마이크로소프트, NTT, SAP 등이 공동으로 UBR의 운영을 관리하는 회의체)에 가입을 함으로써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로 UDDI 비즈니스 레지스트리 노드 운영자가 되었으며 2002년 10월 9일부터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로 UDDI 규격에 기반한 UBR 운영을 시작했다.
국내의 경우에도 비록 파일럿 수준이지만 KT, SKT, LG-CNS, 삼성 SDS 등과 같은 IT 업체들을 중심으로 사설 UDDI 비즈니스 레지스트리 구축을 추진 중에 있으며 한국전산원을 중심으로 공용 UDDI 비즈니스 레지스트리 구축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UDDI 국내 주요 현황
- SUN-SKT : Microsoft-KT
국내에서 그동안 진행되고 있는 웹 서비스 관련 주요 동향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바로 SUN-SKT와 Microsoft-KT의 연합, 그리고 대리전일 것이다.
전세계 IT 그룹의 1,2위라 할 수 있는 Microsoft와 SUN이 국내 이동통신 1,2위인 SKT, KT와 각각 전략적 제휴관계를 설립함에 따라 Microsoft의 .net, 그리고 SUN의 SunONE의 대리전이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SKT에서는 유/무선 통합 인프라와 국내 최다 가입자 기반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SUN에서는 유/무선 인터넷 기술과 마케팅 역량을 제공하게 될 예정이다.
SKT의 경우, 그동안 NATE라는 유,무선 포털을 적극 지원하며 모든 기업과 모든 비지니스의 "One Gateway화"작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해왔다. 즉, 하나의 아이디를 통해 모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며 이러한 One Gateway화 전략은 KT에 의해서도 추진되고 있다.
이런 Gateway화 전략을 바탕으로 SK와 KT는 각각 자사의 플랫폼이 SUN을 중심으로 하는 자유연합 진영과 Microsoft 진영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갖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테스트 베드로서의 역할로 끝나게 될지의 여부는 앞으로 주의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 Microsoft : IBM
이동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한 MS와 SUN과의 경쟁과 더불어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또 하나의 경재구도는 Microsoft와 IBM간의 경쟁이다.
Microsoft는 국내 SI업체와 절반씩 비용을 부담하여 .Net Center라는 것을 설립하고 있다. 현재 동양 시스템즈, 롯데정보통신, 삼성 SDS 등 주요 SI업체들이 .Net Center를 설립하거나 설립을 준비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MS의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던 서비스 능력을 보완함으로써 Web Services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반면, IBM은 MS처럼 개별 SI업체와 별도로 .Net Center를 설립하기 보다는 회사 내부에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SI업체들을 불러들여 교육시킨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향후 웹 서비스 동향 및 전망
UDDI와 상호 운영성 문제 등이 산재해 있으며, 특히 MS와 Sun간의 대립 양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점이다.
개발업체간 웹 서비스 범위, 개발언어 등에 대한 차이가 큰 만큼 이를 해결하고자 2002년 2월 "웹 서비스 상호 운영성 포럼(Web Services Interoperability Forum)"을 개최하였으나 이 포럼에 웹 서비스 관련 주요 업체 중 하나인 Sun이 결국 참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상호 운영성에 대한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향후 통합된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W3C나 OASIS 등 국제적 표준화 기구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ebXML과 더불어 차세대 e-business Framework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Gartner Group에 따르면, 2005년까지 새롭게 웹 서비스 표준을 사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수익이 2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으며, 총 웹 서비스 솔루션 시장규모는 3~4년내에 2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MS의 빌게이츠 회장은 지난 24일은 "2년 전 도입했던 '닷넷(.NET)' 전략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한국경제 26일자)"라고 시인을 하는 듯 하다가도 "MS 닷넷 2기 시대를 열겠다(디지털 타임즈 26일자)"고 발표하는 등 스스로도 중심을 못 잡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발표문의 어느 곳에 촛점을 두느냐에 따라 위와 같은 서로 다른 해석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고, 나아가 MS가 그동안 닷넷 전략에 기울인 노력을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MS는 결국 닷넷 전략을 포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 리포트를 마치며
막연하게만 생각하고 있던 Web Service 라는 분야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기업간의 사업과 커뮤니티를 위해선 그 모태가 된다는 것을 알았다. 업체 측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인터넷 이용자들의 수준이 향상되어서 이용자들이 직접 웹 서비스에 대한 보다 나은 서비스 제시나 그룹을 결성한다면 이 분야가 더욱 발전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키워드

UDDI,   WSDL,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5.1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