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에 관한 정리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혈에 관한 정리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혈의 목적

2 수혈의 기본수칙

3. 수혈의 종류 및 적응증

4. 수혈과 관련된 합병증 관리

골수이식

본문내용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수혈이 필요 없다.
-바늘을 2개 꽂아 한쪽에서는 혈액을 채취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말초혈모세포를 분리하고 남은 혈액성분을 돌려보냄. 소요시간은 약 2-3시간.
5)골수를 이식하는 방법
i) 대량화학요법과 무균실 격리
- 이식하기 전에 항암제를 대량으로 투여.,전신에 방사선을 쏘이는 경우. 이 때문에 전신에서 조혈작용이 억제되며 그 결과 감염에 대항하는 백혈구가 적어지므로 그 동안에는 무균실 속에서 지내면서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예방.
- 무균실 속에서는 입 안, 위장, 심지어는 항문까지 살균하고 백혈구가 감소했을 때의 감염, 호흡에 의한 폐의 감염을 예방.
- 항암제나 방사선 때문에 서서히 혈구가 줄며 혈소판, 적혈구의 수혈이 필요.
ii)조혈모세포주입
-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경우 이식을 받는 사람과 제공자 적혈구형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방법이 다소 달라짐.
-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는 수혈과 마찬가지로 제공자로부터 채취한 수백ml에서 1000ml의 골수액을 점적 주사.
- 적혈구형이 다른 경우는 다양한 처리를 한 후에 마찬가지로 점적 주사.
- 자가조혈모세포이식에서는 얼려둔 혈액성분을 침대 곁에서 녹인 직후에 점적 주사.
- 세포를 살려 둔 채로 얼리기 위해 체액을 가하기 때문에 그 냄새가 느껴지는 경우도 있음.
- 공여자에게서 뽑은 골수는 지방, 작은 뼛조각, 그리고 기타 다른 물질들을 제거하고 세포덩어리들을 부수기 위해 일련의 거르는 과정을 거침. 때때로 불필요한 세포나 면역 세포의 일부를 제거하는 조작.
- 정제된 골수를 환자의 정맥을 통해 혈관내로 주입하면 신체내의 뼈속에 도달하여 정 착하고 새로운 정상 혈구세포들을 만들기 시작.
- 주입된 골수세포들의 이러한 기적적인 이동을 조절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음.
- 골수세포를 정맥에 주사하는 데는 보통 2-3시간 정도 소요.
- 골수를 투여하는 동안 두드러기, 오한, 빈맥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것 외에는 특별한 불편이 없음.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면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도 감소.
iii)회복
- 개인차이가 있지만 어떤 치료를 했는지, 또 이식한 세포의 종류와 양이 어떠한지에 따라 이식하는 날까지 이식 받는 사람의 백혈구 수는 0에 가까워짐.
- 이식한 세포가 당장 백혈구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식한 후에도 당분간은 백혈구가 적어짐.
- 약20일이 지나면 백혈구 수가 증가하므로 그 시점에서 무균실에서 나갈 수 있음.
- 혈소판, 적혈구의 수혈 횟수도 서서히 줄어 나중에는 수혈할 필요가 없어짐.
- 완전히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면 퇴원.
- 나른함이 계속되며 완전히 회복되는 데에는 최소 반년 정도.
- 백혈구 늘어도 활동이 부실하여 각종 감염, 특히 바이러스성 감염에 걸리기 쉬운 상태
- GVHD의 예방과 치료, 재발의 조기발견을 위해서 퇴원 후에도 병원에서 정기적인 검사를 받을 필요 있음.
- 매우 드문 일이기는 합니다만 이식한 조혈모세포가 활동하지 않아 혈구의 수가 증가하지 않거나, 처음에만 증가하다가 없어져 버리는 경우에는 다시 조혈모세포를 투여하거나 약을 사용.
ⅳ)합병증 , 부작용과 그 예방
- 동종이식, 자가이식에 공통되는 주된 합병증은 대량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에서 오는 부작용과 감염.
- 대량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부작용에는 일반적인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부작용과 유형이 같고 정도가 심한 것과, 그것과는 전혀 다른 부작용이 있음. 개개의 치료 스케쥴에 따라 다릅니다만 구역질, 식욕 부진은 흔히 있는 부작용.
- 동종이식에서는 HLA가 완전히 맞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차이를 인식한 이식된 세포가 이식 받은 몸을 공격하는 것을 GVHD(이식편대숙주병).
- 이식후 처음 3주간이 가장 위험한 기간. 전에는 비활동성이던 세균들이 면역체계가 약화된 틈을 이용하여 발열, 감염, 그리고 구내염 등이 쉽게 발생
- 많은 환자들이 이 기간 동안 식사를 할 수 없으므로 정맥을 통해 영양분과 수액을 공급. -폐렴과 같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투여.
- 소수에서는 백내장이 나이보다 빨리 오거나 불임증.
- 환자, 의료진, 그리고 방문객 모두 손을 씨고 보호 마스크와 무균 처리된 겉옷.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전시자 외. 현문사. 1996년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2000년
http://snuh.snu.ac.kr/Web/info/info_second/internal/2.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0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