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및 직업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 및 직업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업 및 직업 구조
1. 한국의 산업구조
가. 제 1,2,3차 산업별 구성
나. 한국 표준 산업 분류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관련 정보
다. 산업의 변화와 고용구조
(1) 고용구조의 변화
(2) 산업의 변화와 실업률 변화추이
(3) 노동력 수급 전망
2. 한국의 직업구조
가. 직업구조 분석을 위한 직업분류
(1) 직무와 직업의 개념
(2) 한국표준직업분류
나. 한국 직업의 구조
(1) 직업 구성의 개관
(2) 국제 직업분류체계와 외국 직업구조와의 비교
(3) 한국 직업 구성의 변화
(4) 종사상 지위별
(5) 직업별 취업구조의 전망

Ⅱ. 21세기 정보사회의 한국 노동
1. 세계자본주의체제의 변화와 한국노동
가. 1990년대 세계자본주의체제의 변화
나. IMF경제위기와 노동문제
다. 신노사관계의 필요성
2. 변화하는 직업사회
가. 변화하는 인재
나. 변화하는 한국사회
다. 미래의 유망직종
3. 미래의 산업과 직업
가. 21세기 산업과 직업에 대한 예측
나. 미래의 직업전망

본문내용

변화하는 직업사회
가. 변화하는 인재
- 정보기술의 고도화, 수평조직으로의 개편, 자율경영의 확산, 외주업무의 증가 등으로 사 무직, 관리직, 행정직의 수요가 정보화 사회에서는 산업사회의 10분의 1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게 됨
- 골드칼라 금의 속성처럼 유연하고 순수한 양심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인재를 말함.
의 필요성
- 학력보다는 능력과 적성을 더 중요시함
나. 변화하는 한국사회
(1) 인구구조와 생활환경의 변화
- 인구구조의 항아리형 변화
- 사회의 고학력화
-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확대
(2) 경제여건과 산업구조의 변화
- 제3차 산업에서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업종이 발생성장하고 있음
(3) 기술혁신과 정보화
-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한 제2의 산업혁명
- 컴퓨터는 주변의 생활과 사고방식을 새롭게 바꿔놓음
- 인력에 대한 기존의 인식도 완전히 뒤바꿔놓음
다. 미래의 유망직종
① 상징적 분석가 (지식 근로자) ② 첨단기술공학전문가 ③ 로봇 공학 전문가 ④ 소프트 웨어 개발 전문가 ⑤ 의료, 건강 분야 전문가 ⑥ 생물학분야 전문가 ⑦ 해양 항공 우 주과학 분야 전문가 ⑧ 건축설계 및 디자인 전문가 ⑨ 안전공학기술 전문가 ⑩ 에코산업 분야 전문가 ⑪ 카운슬러 ⑫ 박물관 경영 전문가 ⑬ 컨설턴트 ⑭ 3D업종 3D : Digital(인터넷,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DNA(난치병 규명, 신약개발, 인공장기), Design(브랜드파워, 캐릭터산업)
3. 미래의 산업과 직업
가. 21세기 산업과 직업에 대한 예측
- 직업은 계속 분화하여 다양화되고 있다.
- 지식정보화의 진전은 새로운 기업환경과 산업구조를 만들고 있다.
- 사이버 공간을 통한 기업활동이 증대하고 있다.
- 삶의 질을 높이는 산업 비중이 증대한다.
- 지식기반산업과 첨단산업의 발전은 산업의 비중을 변화시킬 것이다.
-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의 등장은 직업을 탄생시키기도 하고 소멸시키기도 한다.
- 평생직장은 사라지고 평생직업이 남는다.
- 공동작업이 증대하고 가변적인 근무형태가 일반화된다.
- 직업군은 4가지로 단순화될 것이다.
나. 미래의 직업전망
- 제1차 산업, 제조업에서는 전반적으로 고용의 감소가 예상
- 서비스업 관련 직종에서는 대부분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가. 심윤종. 유홍준. 박승희. 정태인, 『산업사회학』 (전정판), 경문사, 2000
나. 김동규, 『직업사회학』, 건기원,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