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와 원예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와 원예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노인과 원예치료
1. 원예치료의 정의와 특성
2. 노인에 대한 원예치료 효과
1) 신체적 측면
2) 심리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III. 노인 원예치료 환경조성
1. 신체적 변화에 따른 조성
2. 심리적 변화에 따른 조성
3. 사회적 역할의 변화에 따른 조성
IV. 노인대상 원예치료 효과 분석
V. 결론

본문내용

적절히 통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대상노인 집단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비교 연구도 아쉽다. 또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횟수 혹은 시행기간의 부족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표본수를 어느 정도 일반화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하고,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가능한 범위에서 통제하고 또 충분한 치료 프로그램 기간을 설정하여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고, 이 외에도 다각적인 연구설계에 기초한 대상노인 집단별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을 기하며, 동시에 프로그램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양적인 그리고 질적인 평가 척도와 방법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부영 외(2001), 치매 간호중재로 실시한 원예, 음악, 미술 요법의 효과 결과 비교 연구 ,「한국원예치료연구회」 pp. 3-19.
김수연(2002),「치매노인을 위한 원예치료(치매도우미 자료집)」, 시립성동노인종합복지관.
김한곤(2002),「21세기 치매노인부양의 전망과 과제 노인의 장수와 사회·의료환경」, 영남대학교 노인학연구소.
김희성·이은희(2003), 명상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모형이 치매노인의 우울, 무력감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인간·환경 학회지」
라선희 외(2001), 여가시 원예활동이 여성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및 소근육에 미치는 효과 , 「한국원예치료연구회」 pp. 80-94.
박경아(2001),「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주간 노인 보호센터 뇌졸중 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차상 외(2002),『한국노인복지론』, 학지사.
손기철 외(2000),『원예치료 -식물, 인간, 환경』, 도서출판 서원.
윤숙영 외(2002), 치매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꽃장식의 효과와 꽃의 선호도 조사 ,「J. kor. Flower Res. Soc.」10(1), pp. 41-46.
이상훈외(2000),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치료연구회」pp. 147-159.
이은희·곽혜란·김희성(2003),『원예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여대 출판부.
이혜진 외(2001), 원예치료가 치매치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인간·환경 학회지」4(2), pp. 45-53.
정재은 외(2001), 노인의 원예활동참여에 따른 여가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식물·인간·환경 학회지」4(1), pp. 17-25.
정경희 외(1998),『전국노인생활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영애(2003),『원예치료』, 학지사.
최혜순 외(2001), 치매노인 재활을 위한 주간보호센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및 부양자 사회적 지지에 의한 영향 ,「한국식물·인간·환경 학회지」.
통계청(2001),『장래인구 통계』.
한경희·이상미·김형수·서정근(2003), 짝 지워 수행한 치료적 원에활동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대인관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인간·환경 학회지」 6(2), pp. 15-23.
황인옥(2002),「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치매노인의 사회적응력 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ass, K., S. P. Simson, and N.C. Stevenson(1998). Older Persons and Horticultural Therapy Practice. In Simson, S. P. and Straus, M. C.(eds.), Horticulture as Therapy. The Food Products Press.
Kerrigan, J. and N. C. Stevenson(1997). Behavioral Study of Youth and Elders in an Intergenerational Horticultural Program. In Suzanne E. Wells(ed.),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Older Adult Population. The Haworth Press, Inc.
Relf, D, 1992,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Timber Press Inc. Oregon.
http://ohioline.osu.edu/hyg-fact/1000
http://www.sleepyo.aks.com/HT.htm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1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