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도널드 위니캇의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치료(도널드 위니캇의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관계의 미술 치료적 의의
1) 대상관계와 미술치료
2) 중간대상과 미술 치료
3)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대상관계 미술치료

2. 연구 절차
- 연구 대사의 선정
(1) 대상아동의 생육사
(2) 대상 아동의 특성
(3) 가족의 특성

3. 연구 계획
1) 미술치료 기간 및 장소
2) 미술치료 장, 단기 목표
3) 치료 및 진단 방법

4. 미술치료 프로그램

5. 연구 결과
1) 미술치료과정
2) 미술치료 회기 별 대상관계의 변화
3) 치료결과

본문내용

는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엄마도 매우 긍정적이며 협조적이었다.
■ 18회기 - <눈사람 만들기>
커다란 눈사람을 가운데 그리고 목도리, 장갑을 선명하게 그렸다. 그 옆에다 작은 눈사람을 그렸고, 앞쪽에 눈사람을 두 명, 멀리 있는 산 위에 양쪽으로 나무 두 그루를 그렸다.
* 정리 : 같은 종류끼리 즐겁게 상호관계 하고 있었다. 중심의 큰 눈사람은 엄마, 또는 자신을 동일시하여 표현 한 듯 보임. 혼자 고립되어 있던 심리가 타인에 대한 대상관계로 변화되어 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2) 미술치료 회기 별 대상관계의 변화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
대인관계 및 사회성의 변화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 변화
행동발달 및 놀이 변화
초기
* 타인에 무관심하다
* 애착관계 형성 안 된다.
* 신체적 접촉을 피한다.
* 또래관계에서 의사소통이 안 된다.
* 혼자에 빠지며 의욕 없이 혼자 가만히 있다.
* 교사의 허락 없이 물건을 몰래 가져간다.
* 언어이해력 부족으로 행동이나 몸짓으로 자신의 요구를 나타낸다.
* 전혀 이야기 하지 않으나 미술 활동할 때는 혼잣말을 한다.
* 수, 단어의 개념과 인지 떨어짐.
* 자신의 감정표현 언어 못함.
* 때에 따라 묻는 말에 대답한다.
* 노래, 신체 활동 못함
* 눈을 못 맞추고 자신의 그림을 감춘다.
* 밥을 늦게 먹고 편식이 심하다.
* 스티커, 책 및 새로 산 것을 가지고와 집착한다.
* 또래의 놀림에 방어하지 못하고 두려워한다.
* 유치부 수업 중에 몰래 책이나 수첩의 그림을 본다.
*가려움증으로 치마를 들고 팬티를 안 입고 올 때도 있다.
중기
* 친구와 상호관계는 이루어지지 않지만 이끌면 끌려 다닌다.
* 가족에 대한 거부감 표시
* 간접적인 역할놀이 등을 통해 상호관계 이루어진다.
* ‘나’에 대한 자아인식 가능
* 자신의 감정을 표정이나 웃음으로 표현
* 인사를 한다.
* 자신에 대한 방어 못함
* 친구들이 이상하고 놀리면 집에 가서 이른다.
* 의사표현을 조금씩 하며 여자친구의 이름은 알 수 있다.
* 남자친구와는 잘 놀지 않고 거친 아동은 회피한다.
* 혼잣말을 계속한다.
* 유치원에서 배운 동작이나 율동을 집에서 하려고 시도, 엄마에게 보여줌
* 외모에 관심을 보여 머리염색을 원하나 엄마는 허락하지 않자 스스로 머리를 잘라 엉망으로 만듦
* 혼자서 집에서 멀리 떨어진 상점에 다녀 올 수 있게 됨.
* 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되고 가려움증 없어짐
* 아빠의 접촉 거부.
후기
* 친구의 이름을 부르며 함께 상호작용함.
* 친구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느낀다.
* 친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가족 안에서도 자신이 중심이 된다.
* 등원차도 친구와 같이 타고 친구에게 스티커를 사다준다.
* 존댓말로 허락을 맡는다.
* 학습을 싫어하나 모르는 것이 생기면 교사에게 물어서 직접 해결하려고 함.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일이 많아짐.
* “나”라는 단어를 적절히 사용함.
* 편식과 지나치게 늦은 식습관을 고침.
* 독립성, 적극성 생김.
* 아빠의 도움 거절, 학원차로 통원.
* 부모가 서로 사랑하기를 바람.
* 중간 개상을 감추지 않는다.
* 그림 감추는 모습이 없어짐.
3) 치료결과
가. 치료초기(1~7회기)
* 신뢰감 형성기 (절대적 의존기)
* 그림 안에서 대상관계 형성
* 자유로운 방법과 매체 사용
아동은 자신을 나로 표현하지 않고 다른 인물의 이름으로 대체해서 나타내곤 하였다. 때때로 그는 1살 유아로 고착되어 있기도 하며, 귀신과 유령에게 쫓기는 그림을 많이 그려 불안 심리를 나타내며 외롭고 힘든 심정을 많은 내적 대상을 통해 나타내었다. 화목하지 못한 가정을 행복한 가정이 되길 바라는 상징적 표현으로 하트를 많이 그려 넣기도 하였다.
나. 치료중기 (8~14회기)
* 중간대상 활용기 (상대적 의존기)
* 그림 밖에서 상호관계
* 감각, 통합, 놀이미술 다양한 매체 사용
자아가 성장하여 ‘나’ 아닌 것은 ‘나’로 분리되어 자기의 발달과 함께 객관성을 성취하게 되고, 중간 영역 안에서 마음 놓고 창조적으로 대상을 사용하며 놀이영역으로 확장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 치료후기 (15~24회기)
* 현실 수용기 (독립을 향한 여정)
* 사회 안에서 창조적인 대상관계
* 인지, 행동, 발달적 미술치료, 구조화, 정형매체 사용
대상 아동은 인지발달과 창조적인 통각으로 사회와 동일시하여 독립성을 발달시키며 대상의 상상에서 대상의 지각으로 중간현상을 확장해 문화의 공간으로 나가게 되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