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영화 황금기의 세 감독들과 그들의 작품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영화 황금기의 세 감독들과 그들의 작품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여는 말

Ⅱ.본론
1. 미조구치 겐지
1) 인간, ‘미조구치 겐지’
2) 미조구치 겐지의 작품의 특징
3) 작품으로 살펴본 미조구치 겐지의 세계
4) 미조구치 영화의 전반적인 특징들
2. 오즈 야스지로
1) 인간 '오즈 야스지로'
2) 오즈 야스지로 작품의 특징
3) 작품으로 살펴본 오즈 야스지로의 세계
4) 오즈 영화의 전반적 특징들
3. 구로사와 아키라
1) 인간 “구로사와 아키라”
2) 구로사와 아키라 작품의 특징
3) 작품으로 살펴본 구로사와 아키라의 세계
4) 구로사와 영화의 전반적인 특징들

Ⅲ.맺음말

본문내용

절충주의적인 편집 스타일을 구사한다. 오즈나 미조구치처럼 단순화된 편집스타일에 내용을 맞춰가지 않고, 내용의 의미에 따랄 편집이 자유자재로 변한다. 그의 편집은 특히 액션 장면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인다. 가령<스가타 산시로>의 마지막 결투 장면이나 <라쇼몽>의 숲 속에서 강탈하는 장면, <칠인의 사무라이>, <호위병>, <쓰바키 산주로>, <난>등의 마지막 결투 또는 전투 장면의 정교한 몽타주는 다른 형식 요소인 음악 조명 카메라의 움직임과 어울려 강렬한 이미지를 표출시킨다.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감독과 편집자의 역할이 철저히 분리되어 온 것과는 달리 구로사와는 대본 작업에서도 항상 그렇듯이 구식 무비올라를 이용해 직접 편집을 한다. 편집은 시나리오, 연출에 이어 또 하나의 중요한 장조 작업이기 때문이다.
Ⅲ.맺음말
지금까지 과거 일본영화계에서 가장 대표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거장 3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세 감독들은 서구에서는 전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형성된 일본적인 영화 스타일은 현재의 일본 영화산업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일본 대중문화의 본격적인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일본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한국의 영화산업 성장. 이 양면 모두를 위해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넘어가야 할 숙제라 하겠다.
미조구치 겐지의 작품엔 그의 인생 경험에서 비롯한, 이중적인 여성상이 잘 투영되어 있다. ‘미조구치 스타일’이라고 불리우는 그의 롱 테이크 기법은 영화 기법서에 오를 정도로 일본 영화사에 한 축을 형성했으며, 프랑스의 누벨바그 감독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오즈 야스지로는 그의 영화에서 "가족"이라는 키워드를 구사하여 만남과 헤어짐. 가족간의 사랑과 정. 단절에서 오는 허무감. 이의 극복과 원점으로의 회귀. 이를 그리는 일상에서의 에피소드들을 사실주의적인 견지에서 담담히 "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오즈의 영화 세계는 만난 사람은 결국 헤어진다는 회자정리(會者定離)의 세계이기도 하다. 이는 거의 모든 작품에서 윤회와 회귀를 표현하려 했다는 오즈의 말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그는 "다다미 쇼트"를 일반적인 일본영화 기법의 하나로 정착시키기도 했다.
구로사와 아키라는 서구에 가장 널리 알려진 감독이고, 그의 영화에는 영상미학의 압도적인 약동감이 있다. 그리고 영화 작품세계의 남성적이고 역동적인 강인함, 휴머니즘, 대담하면서도 정교한 연출 등이 그의 영화에서의 매력 포인트라 할 수 있겠다.
그들이 오십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까지 높은 평가를 받고,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는 이유는 단지 그들 작품의 화려한 수상 경력이나, 작품성, 흥행성 때문만은 아니다. 시대를 망라하여 영화 관객에게 소구할 수 있는 그들 의 주제적, 기법적인 통찰력 때문이다. 이들은 각각 다른 면에서 "가장 일본적인 감독들"이라는 찬사를 받는다. 서구의 것과는 다른 독창적인 일본의 특징을 잘 살려낼 수 있는 작품들을 만들었고, 그 과정의 주제, 기법,표현 양식들은 현재까지 일본 영화산업에 있어 중심 축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화된 시장에 있어서 세계화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것"이 결여된 세계화란 있을 수 없다. 그것이 영화와 같은 문화상품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내 것을 알린다"는 것은 "내 것이 어떠한 것인지"를 먼저 알 때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위의 세 감독은 현재의 세계화된 일본문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발판을 마련했다고 본다. 우리는 이 감독들과, 그들의 작품을 조망함이 일본의 영화, 나아가서 일본의 대중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서 우리의 영화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1.동아시아 영화: 작가, 사회, 미학 의 미조구치 겐지와 이마무라 쇼헤이의 영화 비교/남명희
2. 일본영화 다시보기 ‘오하루는 왜 기절하는가? /로버트 코인
3. 시네 21 2003년 7월판/ 영화평론가 홍성남
4. 아시아 영화의 이해/ 작가편
5. The Japanese Flim/1982/Princeton Univ. press/Josep L.Anderson & Donald Richie
6. 대중영화의 이해/ 그레엄 테너
7. 구로사와 아키라/이정국/1994/지인
8. 구로사와 아키라의 꿈은 천재이다/문예춘추 엮음/김유쥰 옮김/2000
9. 일본영화 길라잡이/김형석/1999/문지사
10. 일본 영화사(LE CINEMA JAPONAIS)/막스 테시에 /최은미옮김/1997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1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