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회 사상의 원류를 찾아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신민회 개괄
1. 한말 애국계몽운동의 조류
2. 신민회의 성립 배경
3. 신민회의 창립과정
4.신민회의 목적과 이념
5. 신민회의 조직
6. 신민회의 활동
가. 교육구국운동
나. 대중계몽운동
다. 실업구국운동
라. 독립기지 창건운동
7. 신민회의 해체

Ⅲ.신민회 연구동향

Ⅳ.연구과제
1.사회진화론이란
2.사회진화론의 이중적 성격
3.사회진화론과 신민회의 관계

본문내용

愛國啓蒙團體로 파악되었던 이전의 신민회 인식의 방향전환을 시도하였다.
李載順, <韓末新民會에 관한 연구> (《梨大史苑》 14, 1977).
한편 이러한 강경론적 인식과 입장을 달리하여 강재언 교수는 신민회를 文治鬪爭團體로 파악한 연구로 온건론을 제기하명 신민회 활동의 한계성을 시사하기도 하였다.
姜在彦, <新民會의 活動과 百五人事件> (《朝鮮의 開化思想》, 1980) pp.151~413.
박영석교수는 신민회의 분신이기도 한 정학사 초지문의 분석으로 신민회의 사상적 일단면을 구조적으로 밝혔다.
朴永錫, 《日帝下 재滿韓人의 獨立運動과 民族意識》 (일조각,1982) pp.185~228.
80년대 후반부터는 國權恢復, 救國運動이라는 저항적인 면만을 강조하고 그 내부의 계급적인 이해 관계로 인한 차별성과 다양성을 검토하지 못하였다고 보아, 계몽운동의 차별성에 주목한 연구들이 나왔다.
이외에 新民會의 思想을 추적한 硏究 등 다수가 있다.
Ⅳ.1조 기말연구과제
1.사회진화론이란
사회진화론이란 생물진화론을 인간사회에 적용시킨 것으로 스펜서에 의해서 체계화되었다.
사회진화론의 핵심은 사회는 생물과 같은 진화하는 유기체이며 생물유기체와 같은 사회의 원동력은 생존경쟁이다. 따라서 인간사회도 적자생존, 자연도태의 논리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스펜서는 인간사회에도 동물사회와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고 보았다. 즉 사회를 유기체로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사회도 미분화된 통일의 상태에서 고도로 복잡하고 분화된 고도로 - 이 구조 안에서 개별적 부분들은 점차적으로 자율적이 되고 전문화되면서도 상호의존 관계를 증대시킨다 - 진화해 가는 생물체와 유사한 것이라고 파악하였다(루이스 코저 1986).
2.사회진화론의 이중적 성격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에 수용되어 발전한 사회진화론은 이중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긍정적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기능을 하였다. 사회진화론이 국가의 근대화의 필요성과 국가의 독립을 위한 적절한 행동방침, 예컨대 '강자'가 되기 위한 실력양성운동 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계몽운동을 통해 유교의 부정적이고 봉건적인 측면을 비판하면서 근대적 국가사상과 민권사상의 보급의 필요성을 사회진화론의 시각에 입각하여 주장함으로써 당시의 정치사회적 기성틀의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였다는 것은 긍정적인 기능으로 파악된다.
다른 한편 사회진화론은 한국적인 수용과정에서 이같이 대체로 긍정적인 기능과는 달리 명백히 역사적으로 부정적인 기능을 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강자로 이해되었던 일본의 제국주의와 제국주의적 침투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는 점이다. 친일파들은 사회진화론을 빌어서 당시의 국제환경을 황인종과 백인종의 인종싸움의 시기라고 단언하고, 황인종 사이의 반목은 백인종의 아시아 침탈과 그 지배구조를 초래하게 된다는 명목 아래 인종적인 싸움의 긴급성을 강조하려 했거나 결과적으로 그 같은 관심을 희석시키는 데 일정한 몫을 담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친일적인 인사들은 일본을 맹주로 하는 황인종의 단결을 주장하고, 독립을 위해서는 독립운동보다 한반도의 근대화가 긴박하다는 논리를 내세웠고 이를 위한 실천 방략으로서 일본과의 연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3.사회진화론과 신민회의 관계
신민회의 주요 사업은 교육과 식산흥업, 독립군기지 설립운동이었다. 신민회의 이러한 사업들이 어떠한 사상을 기반으로 성립되었는지, 조사하던 중에 그것이 사회진화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우리 조는 이 주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뤄보기로 결정하였고, 이 주제를 앞으로 기말발표의 연구주제로 다루어 볼 계획이다.
[참고문헌]
[논문]
한국사회사상사연구, 2003, 나남출판, 제 9장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전개, 이송휘
김숙자, 긴민회 연구- 사상분석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32, 1992
신민회의 국권회복운동과 정치사상, 1996, 연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미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상), 학국학보, 1977
이재순, 한말 신민회에 관한 연구, 이대사원, 1977
신용하,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창건운동, 한국문화, 1983
신용하, 신민회와 대한매일신보의 민족운동, 산운사학, 1990
박찬승, 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1990
[단행본]
사회진화론과 국가사상, 전복희, 1990, 한울아카데미
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 일지사, 윤경로, 1990
한말 애국계몽운동의 사회사, 신용하, 나남출판, 2003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1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