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모넬라 식중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 론 ♧

♧ 본 론 ♧
1. 원인균
2. 살모넬라의 특징
3. 살모넬라 식중독과 전염병의 차이
4. 감염경로
5. 살모넬라균의 병원성
6. 살모넬라 식중독의 증상
7. 역학적 특징
8. 발생현황
9. 살모넬라의 예방법
참고)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사례

♧ 결 론 ♧

본문내용

방지와 함께 증식 기회를 주지 않기 위하여 조리식품은 가급적 빨리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사례
☞ 1998년 4월 21일 충청남도 소재 OO회사 기숙사 식당에서 김밥과 돼지고기 등을 섭취하였던 직원 5명이 4월 23일부터 설사와 발열, 복통을 호소하여 인근 의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보건당국에서는 이들의 가검물을 채취하여 검사한 결과 4명의 가검물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 1998년 4월 22일 오후 10시경 전남 고흥군 한 마을주민 중 28명이 설사, 구토, 복통 증세를 호소하여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들 환자들은 4월22일 마을 상가집에서 집단배식한 도시락을 섭취하였다. 이들의 가검물과 섭취 후 남은 도시락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환자 28명과 도시락 1개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 1998년 3월 28일 제주도 서귀포시 OO초등학교 학생 중 다수가 설사, 복통, 구토, 발열 증세를 보였다. 이 학교에서는 단체급식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3월 19일부터 20일 사이 수학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었다. 또한 21일에는 물의 날 행사관계로 학생들이 여러 종류의 음식을 섭취한 경험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학교 조리사를 비롯한 발병 학생 12명에 대한 세균검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 8명의 검체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으며 조리사에서는 균이 검출되었다.
☞ 1998년 2월 14일 오후 12시 30분경 제주도 서귀포의료원에 4명의 설사환자가 내원함에 따라 이 사실이 보건소에 접수되었다. 이후 12시 40년경 다시 설사 환자 3명이 보건소에 내소하여 치료를 받고 귀가하였다. 이에 따라 보건소에서는 이들에 대한 역학조사 및 방역소독, 보건교육 등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이 2월 13일의 한 결혼식에 참석하였고 결혼식 참석인원이 총 300여명임을 확인하였다. 2월15일, 10시경 10명의 설사환자가 추가 신고되었으며 22시경에는 추가로 60명이 확인되었고, 2월 16일에는 제주시와 북제주군 등지에서 63명이 확인되는 등 계속하여 환자발생이 신고되어 2월 16일 오후 4시 현재 모두 147명의 설사환자가 결혼식 음식과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8명의 환자 검체와 섭취 후 남은 음식 4건에서 S. Typhimurium이 검출되었다.
☞ 1996년 4월 7일 오후 12시 30분경 인천광역시 소재 한 뷔페식당에서 열렸던 잔치에서 식사를 한 400명 중 일부가 4월 8일 10시경부터 근육통과 함께 가벼운 설사증세를 호소하였다. 이에 따라 4월 10일 오전 9시 인천시 소재 각 보건소에서는 설사 환자 신고 접수를 한 결과 그 당시 뷔페 식당에서 식사를 하였던 사람 중 39명이 이와 같은 증세를 보이는 환자로 신고되었다. 이들의 대변을 채취하여 검사한 결과 21명에게서 S. London이 검출되었다.
☞ 1997년 7월 7일 오후 5시경 연천군과 포천군에서 농활 활동을 하던 대학생과 주민이 연천군 OO음식점에서 조리된 돼지 편육을 구입하여 먹은 후 100명 7월 8일 오전 3시부터 복통, 설사 증세를 호소하여 70명이 입원하고 30명이 통원치료를 받았다. 이에 따라 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연천군보건의료원, 포천군보건소 합동으로 섭취음식과 환자들의 대변을 채취 균검사 결과 환자 13명과 돼지 편육에서 S. Seftenberg가 검출되었다.
♧ 결 론 ♧
살모넬라에 대한 발표를 준비하면서, 살모넬라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자주 발생되는 식중독인 만큼 적절한 예방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살모넬라균은 우리 주변 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모든 살모넬라균을 제거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살모넬라균이 단지 식중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병원성 세균의 한 속으로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등을 유발하므로, 살모넬라에 대해 제대로 알고, 예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어패류, 날계란, 돼지고기, 닭고기 등이 주요원인 식품으로 우리가 자주 섭취하는 음식들이므로, 음식 섭취 시 주의를 해야 한다.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하므로 65℃에서 20분 또는 75℃에서 3분간만 가열하면 안전해지므로 반드시 가열해 섭취하도록 한다. 그리고 날고기와 접촉한 도마나 칼등의 조리 기구는 열탕이나 일광소독을 해야 한다.식육으로부터 살모넬라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온유통을 철저히 함으로써 살모넬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 또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화장실에 갔다 온 후 요리를 하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한다. 최근에 개 고양이 등 애완동물과 녹색거북이가 살모넬라의 주요한 오염원으로 지목되므로, 어린이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음식물 제공자나 소비자는 오염우려가 있는 음식물에 대하여 가열조리를 철저히 함과 아울러 조리 후 2차 오염 방지와 함께 증식기회를 주지 않기 위하여 조리식품은 가급적 빨리 먹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육이 가장 중요한 오염원이라 해도 애완동물, 건강보균자 등의 오염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식품취급자 자신이 오염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라고 생각한다.
살모넬라 식중독의 발생현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므로, 살모넬라에 대한 교육과 예방대책을 공공기관이나 국가적으로 식중독에 대한 교육과 함께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현대 식품 위생학. 지구 문화사 손형익, 채기수, 김영만. 손규목
-식중독을 간접 경험하자. 효일문화사. 1999 김종만
-필수 식품 위생학. 신광출판사. 이광배 김영성 김성모 2002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정문각.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1999
-식품 위생학. 효일 윤혜경 1996
-식약청 http://www.kfda.go.kr/
-http://haeundae.pen.go.kr/happylunch/ccp/poison1.htm
-http://job.everfood.co.kr/plus/safety16.html
-http://my.netian.com/~foodhygiene/foodpoison/살모넬라.ht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6.2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