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매체 발달의 이론적 배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Hoban의 교육 과정 시각화의 이론 >

< E. Dale의 경험의 원추 >

< Olsen 의 효율적인 학습 이론 >

< Berlo >

< Ely >

< Wittich & Schuller >

본문내용

각각의 분리된 산물에만 관련된 교수자료 개발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③ 교수개발의 체제적 과정은 모형의 형태로 제시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Wittich 와 Schuller 의 ‘교수 체제 개발’ 모형을 들 수 있다.
Ⅰ. 정의 1단계 : 문제 규명 ( 요구평가, 우선순위 결정, 문제 진술 )
2단계 : 환경 분석 ( 대상, 조건, 적절한 지원 )
3단계 : 관리 조직 ( 수행 작업, 책무, 일정 )
Ⅱ. 개발 4단계 : 목표 명세화 ( 최종목표 - TO, 중간 목표 - EO )
5단계 : 방법의 명세화 ( 학습, 교수, 매체 )
6단계 : 표본의 구성 ( 교수자료, 평가 자료 )
Ⅲ. 평가 7단계 : 표본의 검사 ( 실험적 테스트 실시, 평가 자료 수집 )
8단계 : 결과 분석 ( 목표, 방법, 평가 기술 )
9단계 : 실시 반복 ( 재검토, 결정, 실행 )
〔 Wittich & Schuller 의 교수 체제 개발 〕
(2) Wittich & Schuller 의 교수체제개발 모형
① 교수개발은 ‘교수-학습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실제적인 해결책을 탐색하 여 수업설계에 대한 일방적인 절차를 제공하는 체제접근‘이라고 정의, 개 발, 평가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② 교수개발 과정의 단계
- 학습자의 요구사성, 학습수준, 대상인원 및 학습자원을 토대로 문제 를 규명하고 진술한다.
- 분석자료를 기초로 수업목표를 진술한다.
- 수업사태에 적절한 수업매체 선택을 포함한 수업방법을 모색한다.
- 구성된 원형 ( prototype )에 의해 학습결과를 평가하고 분석하여 수업체제 를 수정 보완 한다.

키워드

교수매체,   유아교육,   중등교육,   Hoban,   E. Dale,   Olsen,   Berlo,   Ely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2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