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바람직한 국가유형과 그 실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바람직한 국가유형과 그 실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 국가 실현을 위한 현 단계에서의 문제점 제기
1) 문화에 대한 합의된 중심 가치가 없다.
2) 재정적 기반의 불충분함.
3) 문화 행정관료들의 非전문성
2. 문화 국가 실현을 위한 문제점 해결 방안
1) 그렇다면 어떤 가치인가.
☞ 글로벌 시대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갖춘 한국化
2) 문화 행정관료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3. 문화 국가 실현을 위해 제안하는 기타 방안 몇 가지
1) ‘문화관광부’를 없애자(재편하자).
2) 한국의 대내외 이미지를 관리하는 독립 기관을 설립하자
3) 한국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립 대학을 설립하자.

Ⅲ. 결론

본문내용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마땅히 문화업무와 관광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를 분리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2) 한국의 대내외 이미지를 관리하는 독립 기관 설립.
아울러 서구 유럽의 프랑스처럼 자국의 이미지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이미지 관리국을 독립시켜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한국의 이미지 관리 업무는 한국 관광공사나 근자에 새로 생긴 대통령 산하의 기관 등에서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가 이미지가 대내외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국가 이미지 관리국을 독립된 기관으로 분리시켜 전문적으로 일괄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3) 한국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립 대학 설립.
한국 化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첫 단계로서 한국학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립대학을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나 각 대학의 한국학과에서 분산되어 이루어지고 있는데 한국의 역사와 문학, 언어, 종교 및 철학, 음악, 무용, 미술, 조각, 공예, 건축, 조경, 음식, 복식, 그리고 한국의 문화유산을 전문적,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전문 학예 기관이 건립된다면 문화적인 특수성을 지닌 문화 국가로서의 한국 출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 化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한국학 연구에는 정부의 투자가 동시에 충분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한국이 앞으로 주력하여 나아가야 할 국가 형태로서 '문화 국가' 를 상정하고 현재 그 도정 상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기타의 제안 몇 가지 등을 언급해 보았다. 즉, 문화 국가 실현을 위한 현 단계에서의 문제점으로서 첫째, 한국의 문화에 대한 합의된 중심 가치의 부재, 둘째, 문화 정책 분야의 재정적 기반의 불충분함, 셋째, 그것을 집행하는 문화 행정관료들의 非전문성 등을 꼽았다. 또한 그것의 해결 방안으로서 첫째, '글로벌 시대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갖춘 한국化' 라는 중심 이념을 정립할 것과 둘째, 문화 행정관료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 행정 관료 육성의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과 '개방형 직위제도'를 십분 활용하여 문화 행정 분야에 외부 전문가들을 영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밖에 시장경제의 가치가 농후하게 반영된 '문화관광부' 의 명칭을 변경하고 직제를 개편할 것과 한국의 대내외 이미지를 관리하는 독립 기관의 설립, 한국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립 대학의 설립을 다소 과격해 보이지만 제안해 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문화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나 국가가 일방적으로 문화를 주도하고 창조해 나갈 수는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문화란 워낙 복잡하고 다양하며 광범위한 것이기 때문에, 국가나 정부가 그것을 주도해 나간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 단지 이 때의 문화 국가의 역할은 문화의 생성을 돕고, 문화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소통이 끊임이 없이 대대손손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 일에 그쳐야 하는 것일지 모른다. 따라서 단편적이고 평면적인 문화국가로의 접근은 지양되고, 문화라는 우리 삶의 터전을 가꾸는 일에 국민과 정부가 백년대계의 정신으로 임해야 한다는 것이 이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본인이 갖게 된 결론적인 생각임을 밝히고 싶다.
- 참고문헌 -
김석준. 1994. 『국가변동론』. 법문사.
구광모. 1994. 「제18장, 문화 언론 공보 정책」, 대통령과 국가 정책. 대영문화사
김용호. 1996. 『문화폭발과 문화전략』. 박영률출판사.
이종인. 1998. 「문화행정과 국가 발전」, 예술과 행정 제1호. 평민사
최준식. 2002. 『대한민국을 팔아라』. 시공사

키워드

국가,   한국,   문화,   관료제,   행정,   관광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9.0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