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Tuberculosi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게 되면 약제를 즉시 중단하여야 하며 다시 투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약제가 체액을 오렌지 색으로 변화시켜서 소변색이 붉게 나타난다.
3. Ethambutol (EMB)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시신경염이며 투여용량과 비례해서 나타나므로 일반적으로 투여하는 용량으로 생기는 경우는 1%미만이다.. 시신경염이 생기면 시력불선명, 중심암점, 적녹색맹 등이 나타난다. 약제를 끊으면 안증상은 서서히 회복된다. 간 기능 장애를 일으키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Pyrazinamide(PZA)
결핵 약을 복용하는 환자에서 채혈을 하면 흔히 고 요산혈증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이 약제에 의해 요산의 신장배설 감소로 인해 생기게 된다. 고 요산혈증은 급성통풍과 관련이 있지만 이 경우는 아주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간 손상이지만, 투여용량과 비례하여 현재 쓰는 보통의 용량으로는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5. Streptomycin (SM)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제 8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이(耳)독성이며 다음은 신독성이다. 이 독성은 주로 어지러움증을 보이나 입 주위의 감각이상(저린감), 간혹 청력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신 독성은 노인이나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이런 부작용은 용량과 비례하여 생기므로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투여를 중지하면 증상은 대부분 호전된다.
2차약물
1차 약물에 내성이 생겼을 때 선택된다. Ethionamide, Cycloserine , ofloxacin, Ansamycine등이 있다.
koreadoctor에서 자료를 얻었습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9.12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