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사막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정의와 연구 배경
2.1. 정의
2.2. 연구 배경

3. 학계와 정부차원의 대응
3.1. 학계의 논의의 흐름
3.2. 정부 및 세계정부 차원의 대응

4. 토지파 괴의 양상과 원인 추적
4.1. 토지 파괴의 양상과 영향 연구
4.1.1. 토양 침식
4.1.2. 사막화
4.1.3. 침수(waterlogging)
4.1.4. 염류화(salinization)
4.1.5. 기타
4.2. 토지 파괴의 원인 연구

5. 대책과 방법론
5.1. 대책 제시
5.2. 방법론

6. 중국의 사막화 연구 - 황사현상을 중심으로

7. 나오며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7> 중국의 사막분포
황사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강도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된다. 티끌(먼지), 양사(揚沙), 사진폭(沙塵暴), 강사진폭(强沙塵暴)이 그것이다. 가장 낮은 정도인 티끌(먼지)의 기준은 흙먼지가 잔모래와 공중에서 균등하게 부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가시거리를 10킬로미터 이하 만드는 날씨 현상이다. 양사는 바람이 지면의 모래와 먼지를 불어 내고 공기를 상당히 혼탁하게 만드며, 수평 가시거리를 1-10킬로미터 이내 만드는 날씨 현상이다. 사진폭은 강풍이 지면의 대량 모래와 먼지를 불어내고 공기를 상당히 혼탁하게 만드는 모래폭풍이다. 그리고 수평 가시거리를 1킬로미터 이하 만드는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강사진폭은 강풍이 지면의 모래와 먼지를 불어내고 공기를 상당히 혼탁하게 만든다. 그리고 수평 가시거리를 500미터 이하 만드는 현상으로 모래폭풍 중에서 가장 강한 강도이다. 사진폭, 강사진폭의 한계의 확정과정은 동일한 날씨과정 중 중국 일기예보 지역 가운데 3개 국가기분 관측소가 동시에 사진폭과 강사진폭을 관측해 내는 것이다.
황사의 형성과 강도는 풍력, 강수, 토양표층의 상황에 달려있다. 높은 기온과 낮은 강수량에 강풍이 첨가되면 황사가 발생한다. 생태환경과 무분별한 도시건설도 중요한 원인이다.
대책은 황사 발생 지역의 사막화를 막는 것이다. 사막화로 인해 식물이 사라져버리고 토양이 대기에 노출되면 황사 현상이 더욱 강력해진다. 황사 발생 지역의 녹화사업이 가장 중요하다. 실제로 황사와 사막화를 막기 위해서 북경과 천징 주변에서 대규모 조림사업을 실행하고 있고. 내몽골 지역에서는 경작을 중지하고 대신 나무를 심는 사업을 진행중이다.
<그림 8> 중국 사막의 녹지화 작업 과정
<그림 9> 중국 사막의 녹지화 작업 과정
매년 겨울과 봄에 발생한 황사 발원지는 경외와 경내 두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외 발원지는 주로 몽골나라의 동남부 고비 사막 지역과 카자흐스탄의 동부 사막 지역이다. 이 두 지역의 황사가 중국 북부 대부분 지역을 통해서 태평양 대기환류를 통해 북미주까지 모래를 전달한다. 중국 경내 발원지는 주로 내몽골 동부의 수니트분지와 파단지린사막과 신강의 타클라마칸사막과 쿠르반퉁구트사막 등 지역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경외에서 황사가 발생하는지 경내에서 황사가 발생하는지 정확히 구분이 어렵다.
7. 나오며
지금까지 토지 파괴와 토지 파괴의 대표적인 현상인 사막화에 대하여 그 정의와 연구 배경을 살펴보고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그것이 우리의 생존문제와 직결된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학계에서 논의되는 바와 정부ㆍ세계정부 차원에서 진행되는 연구에 대해 알아보았고, 연구 방법과 대책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사막화 문제는 더 이상 특정 지역의 문제라고만은 볼 수 없다. 우리는 지구화가 진행되어 지구 반대편에서 발생한 사건이 다음날 그 반대편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대에 살고 있다. 토지의 황폐화로 인하여 미국의 농산물 생산이 감소하면 즉시 세계 여러 국가가 타격을 입는다. 가까운 중국의 사막화의 결과 발생하는 황사현상은 한국에서 각종 질병을 발생시키고 정밀 산업 부문에 악영향을 끼친다. 환경문제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단순히 자신의 지역이나 국가에만 한정되지 않고 지구 전체를 유기적인 체계로 보는 관점을 가지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가 토지파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고 다른 환경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
토지 파괴와 그것의 대표적인 문제인 사막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또 하나 중요한 점은 1972년 로마클럽의 보고서에서 제시된 '지속가능한 개발'의 시고를 내면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화와 개발 등 인간의 활동을 전면 중단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개발과 보존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지혜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및 출처-
Chiras, Daniel D., 1998, Environmental science: a systems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Wadsworth
Dregne, H. E., 1976, Desertification: symptom of a crisis. In P. Paylore and R. A Haney, Jr. (eds), Desertification: Process Problems, Perspectives, Arid/Semi-arid Natural Resources Program,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Johnson, Douglas L. and Laurence A. Lewis, 1995, Land Degradation, Cambridge, Massachusetts: Blackwell Publishers
박수진, 2004, 흙과 문명의 흥망, 지식정보사회의 지라학 탐색, 한울 아카데미
아랄해 지도에서 사라질라, 한국일보 2003-07-31
ftp://ftp-fc.sc.egov.usda
http://www.arabicnews.com
http://www.igu-net.org
http://www.iuss.org
http://www.mir.gov.cn
*그림1:
http://www.fsa.ulaval.ca/personnel/vernag/eh/F/cause/lectures/soil_degradation.htm
*그림2: http://www.geo.umn.edu/courses/1001/Summer_Session/EnviroImagery.htm
*그림3: http://www.fao.org/desertification/default.asp?lang=en
*그림4: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ser_id=ton2001&board_no=16033&nid=2945
*그림5: http://www.fao.org/desertification/default.asp?lang=en
*그림6:
http://www.traxafrica.org/ghana.html
*그림7, 8, 9: http://www.duststorm.com.cn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9.2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