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대한 이해) - 중국의 술과 차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酒>
들어가며
1. 중국의 술의 역사
2. 중국의 술
3. 중국의 8대 名酒
4. 중국의 술 문화
<음주 예절>
<교제 및 예의>
<의약 및 건강>
<자극기능>
<중국 술 알고 마시기>
나오며

<茶>
시작하며
1. 차의 개념
2. 차의 기원
3. 중국차의 역사
4. 차의 분류 및 종류
1) 시기별 분류
 2) 제다(製茶)별 분류
5. 6대 名茶
 1) 녹차
 2) 백차(白茶, White Tea)
 3) 오룡차(烏龍茶, 靑茶, Oolong Tea)
 4) 홍차(紅茶, Black Tea)
 5) 황차(黃茶, Yellow Tea)
 6) 흑차(黑茶, Dark green Tea) 
 7) 기타 - 화차(花茶)
6. 중국 차 생산지
7. 다기(茶器)와 다구(茶具)
8. 다도(茶道)
9. 중국의 차의 생산량과 소비량 및 전망
마치며

◈참고 자료

본문내용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오늘 날 일반 가정에서는 외국의 여느 집과 같이 엄격하게 정해진 다도를 지키진 않는다. 다만 대접하는 이는 상대방의 잔이 비었을 때 계속하여 물을 따라 주는 것이 예의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문화 혁명시기 중국의 전통적 행다법은 탄압을 받아 쇠퇴하여 갔다. 하지만 대륙과 달리 대만은 그들 전통의 차 문화를 상업화하여 성공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1980년대 중국이 문호를 개방하면서 대만의 차 문화가 대륙으로 유입되어감에 따라 전통 행다법과 다도의 복구가 점차 진행되고 있다.
9. 중국의 차의 생산량과 소비량 및 전망
중국의 차 재배 면적은 1,328,000헥타르로 세계 차 재배지 면적의 48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차 생산량은 차 재배면적이 410000헥타르로 세계 차 재배면적 2위인 인도에 비하여 훨씬 못 미치는 생산성을 보이고 있다 1990년대 국제농업식량기관(FAO) 자료 기준.
중국은 연간 생산량 435000톤으로 전 세계 차 생산량의 20%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인도는 연간 생산량 645000톤으로 세계 차 생산량의 29%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 이는 낙후된 재배기술과 재배시설, 차 품종개량의 성과부족이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국제 다업위원회(ITC)와 국제농업식량기관(FAO)자료를 참고하여 보면 중국의 1인당 연간 차 소비량은 675g으로 영국(2.5kg), 일본(1.8kg)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1인당 연간 차 소비량 40g인 우리나라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양이 소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6년과 1997년 차 수출상황을 보면 1996년 28,250만 달러, 1997년 33,248만 달러의 수출액을 올렸다. 이는 18%가 증가한 높은 성장률이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품종개량, 재배시설과 재배환경 개선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중국의 차 수출액은 점차 더 큰 성장을 보일 전망이다. 중국통계출판사, 중국통계연감, 1998.
마치며
앞서 언급하였듯이 차는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생활의 한 요소이자 경제에 커다란 존재라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인의 차를 마시는 행위는 그들의 생활 속의 지혜와 민족성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중국인들의 요리법은 대체로 볶기, 찌기, 튀기기, 굽기이다. 때문에 각 조리과정에서 기름은 반드시 들어가는 재료이다. 이렇게 기름을 다량 사용하는 배경에는 건조한 기후인 북방중원에 많은 왕조가 들어섰기 때문이라 보여 진다. 과거 불안정한 정국 속에서 전쟁이 다발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신선한 재료로 요리를 하는 것이 힘들었기 때문에 기름을 많이 사용하게 된 것이다.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면 재료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름을 많이 쓰는 요리 습관은 몸을 산성화 시켜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는데 그것을 예방하는 것이 차라고 볼 수 있다. 음료이기 이전에 약재로 사용된 차의 효능은 탁월하여 산성화된 몸을 중성화 시키는 작용을 하였던 것이다. 향을 즐기면서 몸의 건강까지 지키는 생활을 지혜를 그들은 자연스레 보여주고 있다.
중국인들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에는 실용성, 인내성, 체면중시 등이 떠오른다. 차 문화는 중국인의 이러한 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차를 끓이고 마시는 데에는 기본적인 차례와 시간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중국인들은 자연히 기다리는 법을 배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또한 배타성이 강한 그들은 외부인과 교류에 있어서 집으로 초대하는 것이 드물다. 자신의 치부가 드러날 수도 있는 집보다는, 그들이 외부인과의 교류에 자주 이용하는 곳이 다관(茶館)이다. 다관의 이용은 차뿐만이 아니라 식사까지 저렴하게 해결할 수 있어 실질적 이득을 추구하는 그들의 생활태도와 맞아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차에 포함되어있는 요소들은 살균, 소독, 병 치료 뿐만이 아니라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중국의 차 음료 시장의 빠른 성장은 중국인들이 전통적으로 차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라는 단순한 이유보다 차의 효능을 기대하는 그의 실용적 태도의 일부라고도 볼 수 있다 2003년도 중국인들이 차 음료 선호도 조사결과 여성이 36.7%로 남성 28.5%보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주요 소비층이 15세에서 35세 사이의 젊은 세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참고 자료
허만즈, 『중국의 술 문화』, 2004 <에디터>
이종기, 『술, 숭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2001 <한송>
박정도, 『중국차의 향기』, 2001 도서출판 박이정
텐쥐엔, 『中國主流消費市場硏究報告』, 2003 企業管理出版社 네오넷코리아
http://myhome.thrunet.com/%7Eykj77/chtea.html
http://davansa.co.kr/
http://myhome.naver.com/niwiht/main.htm
http://www.chinainkorea.co.kr/
[목차]
들어가며
1. 중국의 술의 역사
2. 중국의 술
3. 중국의 8대 名酒
4. 중국의 술 문화
<음주 예절>
<교제 및 예의>
<의약 및 건강>
<자극기능>
<중국 술 알고 마시기>
나오며
<茶>
시작하며
1. 차의 개념
2. 차의 기원
3. 중국차의 역사
4. 차의 분류 및 종류
1) 시기별 분류
2) 제다(製茶)별 분류
5. 6대 名茶
1) 녹차(綠茶, Green Tea) 녹차를 건조할 때 마지막으로 솥에서 덖음으로 건조시키면 초청녹차(炒靑綠茶), 햇볕에 쬐어 건조시키면 쇄청녹차(靑綠茶), 홍건기계를 사용하거나 밀폐된 방에 불을 때어 건조시키면 홍청녹차(烘靑綠茶), 열증기 살청 방식으로 제조되어 건조된 녹차를 증청녹차(蒸靑綠茶)라 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2) 백차(白茶, White Tea)
3) 오룡차(烏龍茶, 靑茶, Oolong Tea)
4) 홍차(紅茶, Black Tea)
5) 황차(黃茶, Yellow Tea)
6) 흑차(黑茶, Dark green Tea)
7) 기타 - 화차(花茶)
6. 중국 차 생산지
7. 다기(茶器)와 다구(茶具)
8. 다도(茶道)
9. 중국의 차의 생산량과 소비량 및 전망
마치며
◈참고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9.2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0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