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비쿼터스 도시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유비쿼터스(Ubiquitous) 도시가 열리고 있다

2.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란?

3.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시인프라

4. 새로운 도시공간개념 정립

5. 결론

본문내용

, 또다른 부작용을 잉태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가 정보화시대의 새로운 이념이 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한 효율성 증대와 병행하여 우리 삶의 양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접근해야 하며, 이의 전망과 한계, 장점과 단점 등도 보다 폭넓게 논의되어야 한다.
5. 결론
21세기의 도시는 유한한 토지, 노동, 자본에 의지했던 기존 도시와는 달리 무한한 정보를 매체로 한 새로운 도시공간이 구현되어질 것이다. 새로운 도시공간은 정보화사회를 배경으로 도시공간 사이의 관계, 즉 공간과 공간, 공간과 정보, 정보와 사람간의 네트워킹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으며,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란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이 가능한 상태로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시인프라는 전통적인 개념의 사회간접자본(SOC:Social Overhead Capital)이 아니라 새로운 개념인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기술과 결합된 개념으로 발전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도시건설을 위해서 도시의 수많은 각종 도시공간과 공공시설에 칩이나 센스를 부착하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실시간으로 각종 도시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효율적체계적인 도시관리가 가능하다.
도시공간 사이의 접촉, 이동의 효율증대, 그리고 집적을 통한 이윤추구와 같은 명제들이 주류를 이룬 도시구조에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정보의 접속과 소통이 도시구조의 주요한 요소로 자리잡아 새로운 도시공간개념이 정립될 것이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1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