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언어(통신언어, 채팅언어) 사용의 문제점과 실례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1)인터넷언어의 사용의 실태
1. 음운(소리)나 표기를 바꾸어 쓰는 경우
2. 문법에 맞지 않게 쓰는 경우
3. 어휘를 바꾸어 쓰는 경우
2-(2)인터넷언어 사용의 문제점
2-(3)인터넷언어 문제의 해결방안

3.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시청자들이 몰리는 시간에서 인터넷언어가 방송에 난무하고 이모티콘 까지 등장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방송은 대다수의 국민들이 시청하는 만큼 언어사용에 있어서 신중해야합니다. 방송에서 바른 말과 고운 말 사용을 주도 한다면 시청자들에게도 인식되어 바른 언어 사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넷째, 자발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인터넷 언어 사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고쳐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많은 홈페이지에서 클럽이나 카페의 게시판에 인터넷언어와 비속어, 은어 사용을 자제해달라는 공지사항을 내걸고 있습니다. 심한 인터넷언어, 비속어, 은어를 사용한 게시물은 게시판 담당자가 삭제를 합니다. 또 클럽, 카페, 미니 홈피 등에 바른 언어를 사용하자는 배너를 달기 캠페인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개개인들이 언어파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바른 언어 사용에 힘쓰는 것은 중요한일입니다. 이렇게 스스로 자제하고 노력한다면 인터넷언어 사용이 줄고 우리말 파괴현상도 없어 질 것입니다.
3. 결론
이제껏 인터넷언어의 사용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들도 알아보았습니다. 인터넷언어의 역사는 불과 10년도 채 되지 않습니다. 아주 짧은 시간에 인터넷언어의 문화는 이미 ‘바이러스 번지듯’ 급속도로 퍼져나갔습니다. 인터넷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한 번에 뿌리 뽑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좀 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인터넷 상 언어순화를 실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맞춤법을 무시해 표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일부터 시작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바른 우리말 사용하기 운동과 함께, 그러한 풍토와 분위기를 꾸준히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우리의 언어파괴의 심각성을 깨닫고 바른 국어사용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인터넷언어도 점차적으로 바른 국어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참고 문헌
1. 대중매체와 언어 - 이석주 외 5명 (역락 2004)
2. 매스미디어와 언어 - 전병용 (청동거울 2004)
3. 스피치와 커뮤니 케이션 1호 - 한국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학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아름다운 사이버세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한국경제신문사 2005)
5.인터넷 통신언어의 이해 - 이정복 (월인 2005)
6. 컴퓨터 통신 언어 사전 - 김용경, 조오현, 박동근 (역락 2005)
7. 컴퓨터 통신언어의 연구 - 정진수 (역락 2005)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0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