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에너지, 수소, 미래대체 에너지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소에너지, 수소, 미래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2. 수소란?

3. 수소에너지

4. 수소에너지의 발전 과정 및 역사

5. 수소에너지의 연구 현황 및 사례

6. 수소에너지의 핵심 연료전지

7. 연료 전지의 특성, 종류 및 기대효과

8. 연료 전지의 연구 현황 및 사례

9. 대체 에너지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들

10. 결론 및 의견

본문내용

전해질 소재분야의 개발
아이슬란드
1997년 “세계 최초의 수소 경제 국가”로의 전환 계획 발표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Kuwait of the North"를 천명
◆ 국 내
연료 전지 연구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음 (5년 차이의 격차)
1990년부터 “기술 개발 선호 과제로 인식”
2003년 “차세대 성장 동력”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산업자원부의 주도 아래 2011년까지 총 4,700억원 투자를 계획
민간을 중심으로 제품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연구개발을 진행중
ex) 현대자동차 - UTC Fuel cell사와 제휴를 맺어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중.
휴대폰 - 삼성 종합연구원, LG화학, (주)세티에서 휴대용 연료 전지에 대 한 연구 개발중
거치용 - 전력 연구원이 발생용 시스템,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 중
■ 대체 에너지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
◆ 1976년, 사우디 석유장관, “세이크 아마드 자키 야마니”
세계 강대국들이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를 찾기 위해 태양이나 물에서 에너지를 얻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이 우리를 도우사, 기들의 노력이 빠른 성과 를 거두지 않기를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입지가 흔들려 위태롭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 1979년, 통신
태양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29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1990년까지 전통 연료비 지출에서 118억 달러가 절감된다고 이제 매사추세츠주의 에드워드 케 네디 민주당 상원 의원이 한 연구를 통해 밝혔다.
◆ 1980년, 독일 본의 한 에너지 전문가
수소를 연료로 쓴다? 수소는 아직도 버크 로저스 (최초의 SF만화가)의 수준밖 에 안 된다.
◆ 1997년, 빌 클린턴 대통령
발라드 파워(Ballard power)와 유나이티드 테크놀러지는 매우 깨끗한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연료전지가 유일하게 배출하는 물질은 증류수이다. 현재 발라드는 크라이슬러, 메르세데스 벤츠, 도요타와 협력하여 새로운 자동차에 도입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 1997년,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 자문 위원회
21세기에는 수소가 전기에 비견될 만큼 중요한 에너지 매체가 될지도 모른다. 이것은 중장기적인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 1999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그레이 데이비스”
우리의 장기 목표는 아주 단순하다. 그것은 바로 대기 중으로 공해 물질을 배 출하지 않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주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 및 에너지 공급업체 몇몇과 협력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상업적 으로 이용 가능한 획기적인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2000년, <뉴욕 타임즈>
현재 분석가들은 탄소를 훨씬 적게 함유하고 천연가스가 전성기를 구가할지도 모르며, 당연히 탄소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연료로서 수소의 시대가 결국 도래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결론 및 의견
우리는 왜 많은 대체 에너지 가운데 “수소”를 택하는 것일까?
일단, 그 의문을 풀기 위해서 수소에 대한 장점을 정리해 보았다.
① 수소는 지표면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요소이다.
② 수소는 가장 단순한 요소로써 분해하기 쉽다.
③ 수소는 “수소변형”이라는 과정을 통해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④ 수소는 “환경 친화적”이다.
⑤ 수소는 여러 가지 화학연료로 생산되어지며 다양하게 이용된다.
이런 5가지 이유만 보아도 수소가 왜 대체 에너지의 선두에 서 있는지 잘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소 에너지 관련 기술”은 현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고갈과 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일한 대안이며, 화석 에너지의 시대가 빠르게 감소할수록 수소 에너지 기술 발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 수소 에너지 관련 기술 중에서 제일 각광 받고 있는 형태는 “연료전지”발전 기술이다.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을 이용해서 열을 발생하는 발전 장치로써 기존의 다른 발전 기술 보다 최고 170% 이상의 열 효율과 반응 폐열을 보일 만큼 경제적인 기술임이 입증되었고, “타 대체에너지에 비해 높은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만 보아도 연료전지 중요성 인식과 그 기술이 얼마나 발달되어 있는지 간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다. 일본은 “대체연료”와 광촉매 등의 기술이 상당히 발전해 있으므로 그들의 기술적인 면을 본받을 필요가 있다.
이에 앞으로 우리나라는 “수소 경제”의 이동에 대비한 성공적인 전략을 계획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며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한 수소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책】
1. 강용석, 우리나라 재생 가능 에너지의 가능성과 기술현황, 1988
2. 강석호, 21세기 에너지와 산업사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8
3. 현병구, 에너지와 그 자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4. 안희관, 미래의 에너지, 계명춘추, 계명문화대학 계명춘추사, 1999
5. 산업자원부, 2000년도 에너지, 자원 정책의 현안 및 현안 2000
6. 에머리 로빈슨, 미래의 에너지, 생각의 나무, 2001
7. 피터호프만, 에코 에너지, 생각의 나무, 2003
8. 제러미 리프킨, 수소혁명, 민음사, 2003
【사이트】
9. http://www.kier.re.kr/comsence
10. http://www.hspc.chungnam.ac.kr
11. http://www.zpert.co.kr
12. http://www.nso.go.kr/graph/month/3-11.gif
13. http://www.iea.org/site.htm
14. http://www.keei.re.kr
15. http://www.ksdn.or.kr
16. http://www.bric.postech.ac.kr
17. http://100.naver.com/media
18. http://www.h2energy.re.kr/sub03/sub03.htm
19. http://wwwold.ajou.ac.kr/~penergy/hydrogen02.htm
20. http://www.seri.org/index.html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