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국시대 외교정책과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전국시대 각국의 발전
(1)전국시대의 서막
(2)위(魏)의 발전
(3)제(齊)의 발전
(4)연(燕)의 발전
(5)조(趙)의 발전
(6)진(秦)의 발전
(7)초(楚)의 발전

Ⅲ.전국시대의 외교전
(1)외교정세의 변화
(2)합종책(合從策)과 연횡책(連橫策)
(3)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

Ⅳ.맺음말

본문내용

트집잡아 韓·魏·齊와 연합하여 楚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연후에 秦은 楚에 대한 공격을 중지하고 楚에 화친을 청하였다. 그리고 秦·楚간의 국경지대에 있는 武關에서 회맹을 청하였다. 秦의 위세에 눌린 초 懷王은 부득불 참석하였는데 도중에 진 복병에 납치되어 秦의 咸楊으로 압송되었다. 그 후 楚 懷王은 탈출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고 마침내 기원전 296년 秦에서 병사하였다. 이같은 양차의 국난으로 楚는 국력이 크게 쇠퇴하였다. 그리고 齊에서의 소진의 활동으로 齊왕은 燕에 대해 아무런 방비책도 강구되어있지 않았다. 이 틈을 타 기원전 284년 燕이 주축이 된 韓, 趙, 魏 연합국의 공격을 받아 齊는 대패하였다. 齊나라는 거의 멸망 직전에 몰리게 되었다.
(3)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
楚가 급격하게 쇠퇴하자 六國중에서는 秦을 대적할 강국이 없게 되자 秦은 白起, 司馬錯등의 명장을 기용하고 적극적인 침략전쟁을 계속하였다. 秦의 六國 침략은 魏에서 망명해온 范 의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에 따라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秦은 인접한 韓·魏에 전력을 기울여 공격하고 멀리있는 타국에 대해서는 친선책을 취하였다. 이 결과로 韓·魏는 타국으로부터 고립되었을뿐 아니라 秦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 양국은 국토의 태반을 상실하였다.
기원전 287년 秦의 장국 白起 초의 수도 을 함락시키자 초는 수도를 陳으로 천도하였고, 이로써 楚의 세력은 한층 몰락하게 되었다. 기원전 266년 秦 소왕은 위염을 상직에서 파면시키고 布衣 출신인 범수를 경상으로 임명했다. 범수는 "멀리 있는 나라와 화친하고 가까이 있는 나라를 공격하는(遠交近攻)" 방식과 각국의 생산력에 타격을 주는 방식 및 이간계책의 3대 책략을 제안하여 秦은 계속 승리를 거두었다. 기원전 265년부터 262년까지 秦은 계속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韓을 공격하였다. 기원전 263년 秦은 韓의 南陽을 공격 점령하고, 韓으로 하여금 上堂郡과 격리되게 하였다. 이후 秦과 趙는 상당군을 쟁탈하기 위해 장평전이 발생하였다. 260년 趙軍은 장평에서 포위되어 식량이 단절되자 전군이 秦에 항복하였다. 秦의 장군 백기는 趙의 군인 40여만을 장평에서 몰살시켰다. 다음해 秦軍은 또 승리를 틈타 한단을 포위하였다. 진이 2년여간 공격하였으며 장평전과 한단의 포위로 趙는 실력상 엄청난 손실을 받았다.
秦이 대외 겸병전쟁에서 끊임없이 승리하자, 秦 소왕 말년에는 三晉의 상군·하동·상당·하내·남양 등 지역이 모두 秦에 점령되었다. 강역의 크기는 6국에서 필적할 만한 나라가 드물었으며 경제·문화의 선진지역인 중원의 대도시가 秦의 소유가 되어 秦의 실력은 더욱 증대하였다. 장양왕때 이르러서 東周·西周는 모두 이미 秦에 의해 멸망되었다. 기원전 230년 秦이 韓을 멸하고 韓地를 영천군으로 하였고 226년 燕을 공격하여 연왕 喜는 요동으로 도주하였다. 다음해 魏王이 투항하였고 223년 秦의 장군 왕전이 楚를 공격하여 楚를 멸망시켰다. 222년 秦은 燕의 요동을 공격 燕王 喜를 사로잡고, 또 代를 공격하여 대왕 가를 사로잡아 燕·趙 양국이 멸망하였으며 다음해 齊가 멸망하자 천하는 통일되었다.
이와 같이 전국시대의 패권이 옮아가는 과정 속에서 외교의 판도 또한 역동적으로 변화해 갔으며 그것은 결국 절대 신뢰가 담보될 수 없는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秦이 7웅의 패자로 수렴되어 가는 과정은 결국 내부에서는 체제의 개편, 그리고 외부에서는 국제 정세를 이용한 외교정책의 승리가 낳은 필연적 결과물인 것이다.
Ⅳ.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국시대의 패권이 秦으로 수렴되어 가는 과정은 부국강병을 위한 각국의 변법, 이러한 변법으로 축적된 국력을 바탕으로 짜여진 판도 속에서 각국의 이해기반이 투영된 이합집산의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변화하는 패권과 철저한 자기 이해기반으로 전국시대의 판도는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고 그러한 의미에서 보았을 때 각국이 추구하였던 외교책은 그 어떤 요소보다도 당시의 상황을 잘 설명해 준다 하겠다. 결국 秦이 패권을 차지하고 유지하며 종국에 천하를 평정할 수 있었던 것도 내적으로는 변법의 성공, 외적으로는 국제정세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정세를 주도할 수 있는 비젼을 지녔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李春植, 《中國古代史의 展開》, 예문출판사, 1986.
宮崎市定 著/ 曺秉漢 編譯, 《中國史》, 역민사, 1983.
李成九, 〈春秋戰國時代의 國家와 社會〉《講座 中國史Ⅰ》, 지식산업사, 1989.
徐連達, 吳浩坤, 趙克堯, 중국사 연구회 옮김, 《중국통사》, 청년사, 1989.
李瑾明 編譯, 《中國歷史 上》, 신서원, 1993.
伯贊, 이진복·김진옥 옮김, 《中國全史》, 학민사, 1990
앙리 마스페로, 김선민 옮김, 《古代中國》, 까치, 1995.
傅樂成, 辛勝夏역, 《中國通史》, 지명사, 1981.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古代中國의 理解Ⅱ》, 지식산업사, 1995.
김태승 편역, 《東洋史의 基礎知識》, 신서원, 1991.
松丸道雄·永田英正·尾形 勇·小山正明·加藤祐三 지음, 조성을 편역, 《중국사개설》, 한울 아카데미, 1989.
박인수, 《춘추전국의 패자와 책사들》, 색필, 2001.
질 문 지
1. 전국시대 변법으로 농업생산력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것은 부국강병을 추구할 수 있는 원동력 중의 하나가 되었다. 농업생산력 증대의 배경으로 철기의 보편화를 들 수 있겠는데, 그렇다면 철기가 전국시대에 보편화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2. 전국시대 초기 위(魏)가 강성해졌을 때 통일을 위한 움직임은 없었는가? 통일이라는 목표는 뒤에 진(秦)만이 가지고 있었는가?
3. 기원전 318년 결성된 합종 이후 진(秦)정벌 전쟁에서 제(齊)가 합종에서 빠진 이유는 무엇이며 그 이후 제가 다시 합종책을 주장한 이유는 무엇인가? 두 번의 합종책으로 인해 제가 얻고 잃은 것은 무엇인가?
4. 6국의 동맹을 와해하기 위해 진(秦)나라가 사용한 이간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 변법을 주도했던 법가 또는 묵가 사상의 발원지는 동방 지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秦에서 그 사상이 가장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5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