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재정 계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0년간 재정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부채는 학자금대출 명목으로 이자비용을 포함하여 약 1500만원 정도이고, 10년간 나누어 상환하게 된다. 대략 1년에 150만원 정도씩 갚아나가는 셈이 된다. 결혼 후부터 출산 전까지 3년간 맞벌이로 돈을 벌고 출산 후 배우자는 전업주부로 생활한다. 나의 연봉은 3500만원에서 시작해 입사 5년차(대리)에 4000만원 정도 될 것이라고 가정한다. 저축은 예상 수익률 등의 가정이나 예측이 어려워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없다고 가정하고 확정이자를 지급하거나 비교적 예측이 쉬운 정기적금형식의 예금상품에 저축한다고 가정한다. 결혼 전 1년간은 결혼자금을 비롯한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정기적금에 몰아넣는다. 청약부금이나 예금은 이자율도 낮고 이번 재정계획에서는 10년 뒤 내집마련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결혼 후 세대주가 되어 청약저축을 가입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마음이 바뀌면 청약 예금으로 변환시켜 더 큰 평수의 민간아파트를 노릴 수도 있다. 육아비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용시켰고, 기타 포함하지 않은 지출에 대해서는 성과급 등 기타 항목들을 제외한 것과 상쇄되어 결과적으로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특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는 제외하였다. 보험은 월수입의 10%이내에서 보장성 보험을 들고 연금상품이나 기타 보험은 고려하지 않는다. 일단은 내집마련을 최종목표로 삼았다.
위와 같이 예측한 결과 2015년이 되어서야 1억3천만원 정도의 자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만약 출산 후 배우자가 다시 일을 하여 돈을 번다던가 투자 방식을 변경하는 등의 변수를 고려한다면 1억 5천~1억 7천만원 정도의 자산을 기대할 수 있다. 내집마련을 위해서는 다소 부족한 자산이지만, 주택마련 모기지론이나 기타 대출 등을 이용하여 중도금을 상환해 나가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혼 전 1년 동안 HK상호저축에 세금우대 정기적금에 매달 130만원씩 불입하였을 경우, 1년 뒤 세후 실수령액은 16,031,076원이 된다.
2007년(취업~결혼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16,031,076
유동자산
16,031,076
2.부채
13,500,000
고정부채
13,500,000
3.자본
2,531,076
자본금
2,531,076
4.부채, 자본 총계
16,031,076
결혼 후, 부부의 모든 자산이 합쳐지고, 결혼자금을 제외하고 나면 부인이 결혼 전에 모은 자산이 결혼자금과 상쇄되고 나의 자산이 그대로 남은 것과 같이 된다. 부인은 매달 150만원을, 나는 매월 250만원을 번다.
월 저축액은 200만원으로 청약저축에 월 10만원씩 불입, 평생비과세적금에 월 90만원씩(7년만기, 실수령액 88,184,250원), 그리고 상호저축에 월 100만원씩(2년만기, 실수령액 25,342,500원) 불입한다. 출산전에 부인이 일을 몇 개월 못하지만 일단은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비과세적금의 경우에 3년까지 4.7%확정금리, 이후에는 변동금리이지만 7년 모두 확정금리 4.7%인 것으로 가정한다.
2008년(결혼~출산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41,330,676
유동자산
41,330,676
2.부채
12,000,000
고정부채
12,000,000
3.자본
29,330,676
자본금
29,330,676
4.부채, 자본 총계
41,330,676
2009년(결혼~출산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68,001,253
유동자산
68,001,253
2.부채
10,500,000
고정부채
10,500,000
3.자본
57,501,253
자본금
57,501,253
4.부채, 자본 총계
68,001,253
아이를 출산하고 부인은 전업주부로 생활하게된다. 2010년부터 승진으로 인해 연봉은 4000만원을 받게 된다. 성과급 제외하고 매월 300만원을 받게된다. 육아비용 등을 제하면 월 150만원정도를 저축하게 된다. 청약저축과 평생비과세적금은 그대로 이어가되, 2015년까지 5년만기의 비과세 정기적금을 다시 가입한다. 월 50만원씩 불입하면 만기시 실수령액은 34,346,181원이다.
2010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88,167,965
유동자산
88,167,965
2.부채
9,000,000
고정부채
9,000,000
3.자본
79,167,965
자본금
79,167,965
4.부채, 자본 총계
88,167,965
2011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109,364,512
유동자산
109,364,512
2.부채
7,500,000
고정부채
7,500,000
3.자본
101,864,512
자본금
101,864,512
4.부채, 자본 총계
109,364,512
2012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131,644,025
유동자산
131,644,025
2.부채
6,000,000
고정부채
6,000,000
3.자본
125,644,025
자본금
125,644,025
4.부채, 자본 총계
131,644,025
2013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155,062,407
유동자산
155,062,407
2.부채
4,500,000
고정부채
4,500,000
3.자본
150,562,407
자본금
150,562,407
4.부채, 자본 총계
155,062,407
2014년
계정과목
금액
1.자산
179,678,477
유동자산
179,678,477
2.부채
3,000,000
고정부채
3,000,000
3.자본
176,678,477
자본금
176,678,477
4.부채, 자본 총계
179,678,477
<2014년 손익계산서>
개인의 손익계산서에서 계정과목에 각각 어떻게 해당이 되는지 알 수 없어 각각의 계정과목을 내 나름대로 생각해서 정해보았다.
매출액 : 내가 회사에서 일하여 받은 연봉
매출원가 : 순수한 근로소득이므로 원가는 0원으로 정했다
판매비와 관리비 : 모든 세금 및 생활비로 정했다.
영업외수익 : 금융소득으로 정하였다.
계정과목
금액
1.매출액
40,000,000
2.매출원가
-
3.매출총이익(1-2)
40,000,000
4.판매비와관리비
18,000,000
5.영업이익(3-4)
22,000,000
6.영업외수익
921,600
7.경상이익(5+6)
22,921,600
8.당기순이익
22,921,600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5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