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의 구조와 발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자의 구조와 발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종자의 구조와 발아◈
▶임업종자
▶종자란?
1. 종피
⑴ 종피조직
⑵ 발아공
2. 영양조직
⑴ 겉씨식물
⑵ 속씨식물
3. 배
⑴ 겉씨식물
⑵ 속씨식물
4. 종자저장
5. 종자교환
▶종자의 구조와 발아
(1) 꽃의 구조
(2) 꽃의 기능
(3) 종자의 구조
(4) 종자의 생성
(5) 종자의 이동
(6) 종자의 발아
1) 지상발아와 지하발아
2) 발아의 외적조건
▷종자의 발아 모습
(7) 종자의 휴면 및 휴면타파
1) 휴면의 뜻과 형태
2) 휴면의 원인
3) 종자의 휴면타파
(8) 열매의 종류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음과 같다.
③산소
발아중의 생리활동에도 호흡작용이 필요한데, 많은 종자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호흡이 잘 이루어져야 발아가 잘되지만, 벼종자처럼 산소가 없을 경우에도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있다.
④광
광선하에서 발아가 잘 되느냐 못되느냐, 또는 변함이 없느냐에 따라서 종자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광을 필요로 하는 종자로는 담배, 상치, 우엉, 금어초, 뽕나무 등이고 광이 필요치 않는 종자로는 토마토, 가지, 오이 그리고 광과 관계없이 발아하는 종자로는 벼, 보리, 밀, 옥수수, 콩과식물등이 있다.
▷종자의 발아 모습
A-겨우살이 종자 발아 모습
① 마치 까치둥지처럼 모습을
하고 있다.(원 안부분) ② 잎모양 형성
③종자에 끈끈한 점액이 묻어있어서 ④종자가 발아중
나무가지에 잘 붙는다.
⑤종자가 발아중 ⑥잔가지가 계속 V자 형태로
⑦겨우살이 열매로..
B-강낭콩 종자 발아 모습 C- 옥수수 종자 발아 모습
(7) 종자의 휴면 및 휴면타파
1) 휴면의 뜻과 형태
성숙한 종자에 적당한 발아조건을 주어도 일정기간 동안 발아하지 않을 때에 이 종자는 휴면을 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휴면은 생육의 일시적인 정지상태라고 볼 수 있다, 휴면기간은 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 벼종자는 1주일에서 6개월, 보리종자는 휴면기간이 거의 없는 것으로부터 3개월, 감자는 수일에서 5개월, 종자껍질이 딱딱한 종자는 수개월에 수십 년까지 이른다.
2) 휴면의 원인
종자껍질이 수분의 이동을 저해하기 때문에 장기간 발아하지 않는 종자를 경실이라고 한다. 또한 귀리, 보리 등에서는 종자껍질이 산소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산소흡수가 저해되고,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발아를 하지 못하고 휴면한다.
배가 미숙한 상태로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산, 미나리아제비, 장미과 식물 등이 이에 해당되고, 종자껍질에 있는 발아억제물질에 의하여 발아하지 않는 경우는 벼종자, 순무종자가 이에 해당된다.
3) 종자의 휴면타파
자연상태에서 휴면은 토양을 얼렸다 녹였다 하거나 동물의 소화기관을 통과시키거나, 미생물의 활동, 산불, 토양산도 및 기타방법을 이용하여 타파할 수 있다. 휴면을 타파하는데는 수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아래의 방법으로 쉽게 발아시킬 수도 있다. 작물의 종자 중에서 견고한 종자들은 빨리 그리고 균일하게 발아를 촉진시키고, 휴면타파는 균일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흔히 파종하기 전에 종자껍질에 상처를 입힌다.
종자를 서로 부딪히거나 마찰하여 종피에 기계적 손상을 입히고, 그 밖에 물리적인 방법으로 진탕, 온탕, 건열, 저온, 고압 등을 처리하며, 또 다른 방법으로 화학제를 처리하기도 한다. 종피파상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이용하여 종피에 상처를 줌으로써 휴면을 타파할 수 있다. 종피파상법은 마찰시키거나, 황산을 처리하거나 또는 간단히 종자를 찌르는 등의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종피는 때로 발아억제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종피를 제거하면 발아억제 물질도 제거된다는 점, 종피막은 반투성의 막을 가지고 있어서 물은 투과시키지만 억제물질은 저지한다는 점 때문이다. 그밖에 지베렐린, 사이토키닌, 카이네틴 등이 배의 휴면과 다양한 원인에 의한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고 발아를 촉진하는 데 효과가 있다
(8) 열매의 종류
가. 참열매 - 씨방이 자라서 된 열매 ex) 복숭아, 감, 포도
나. 헛열매 - 씨방이외의 다른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ex) 배, 사과, 딸기
예) 사과와 복숭아의 열매구조
①사과의 열매구조
A. 외과피 - 열매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껍질 부분
B. 중과피 - 보통 우리가 먹는 부분으로 가장 잘 발달
C. 내과피 - 열매의 가장 안쪽에 있으며 복숭아 등은 단단하게 되어 종자를 보호한다.
②복숭아의 열매구조
▶참고문헌 및 사이트
다음백과사전
http://my.netian.com/~yisul/단원2/flower.html
http://wwwk.dongguk.ac.kr/~bio/menu02.htm
http://www.hanadsd.co.kr/science/bio/49.htm
http://www.youngran.ms.kr/study/science/052-2-1-08-2.htm
http://mfs.kyungpook.ac.kr/biocosmos/3_sub4.html
http://myhome.naver.com/softopia/home.htm
http://chumun.ms.kr/m2bio/m2bio_1.htm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2.1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