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의 필요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계천 복원의 필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계천에 대하여
2. 청계천 복개전의 모습
3. 청계천 현재의 모습
4. 청계천 복원의 필요성
5. 청계천 복원의 문제점
6. 청계천 복원의 개선점
7. 청계천 복원후 모습
8. 다른 하천 복원의 사례

본문내용

찌바의 상징물 오레라 데 아라메
2. 양재천
경기 과천시 관악산 부근에서 발원, 강남권을 가로질러 한강으로 흘러가는 양재천은 4, 5년 전만 해도 악취를 풍기는‘천덕꾸러기였다. 그러나 이젠 양재천이 되살아나 주민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됐다. 강남구는 삼성그룹에 지역내 건물신축을 허가해 주는 대가로 받은 자금으로 강남구간 상류지역에 수질정화시설을 설치하는 등 수질 개선에 주력했다. 덕분에 5급수의 양재천이 3급수로 깨끗해졌다. 앞으로 달터공원 주변에 반딧불이 공원이 새로 들어서는 등 양재천 주변 가꾸기 사업은 계속될 전망이다.
참고사진 ---> 양재천
3. 제주시 산지천
악취 때문에 시민들로부터 외면당했던 제주시내 산지천이 새로운 생태공원으로 태어났다.
제주시는 산지천 복원을 위해 하천 바닥에 자갈을 깔고 수중 둑을 설치해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도록 했으며, 높이 3∼5m의 호안을 제주 자연석으로 꾸미고 곳곳에 계단식 분수를 설치하였다. 하천 중간에 아치형 나무다리와 제주의 해녀상을 주제로 한 입체조형물다리등 교량 3개가 새로 가설되었고, 산지천 남쪽에는 121개의 물기둥을 뿜어 올리는 음악분수가 들어섰다. 하천 주변에는 제주 자생식물 42종 7만여그루가 식재됐으며 너비 4m의 보행자도로와 편의시설 등이 설치되었다.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산지천은 곳곳에 계단식분수와 나무다리, 입체조형물 다리 등의 교량이 설치됐으며 121개의 물기둥을 뿜어 올리는 음악분수가 들어섰다. 하천 주변에는 제주 자생식물 42종 7만여 그루가 심어졌으며 너비 4m의 보행자도로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1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