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선지서의 일반적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선지서의 일반적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의 날

2)하나님의 왕국

3)메시아 왕국

4)성령의 회복

5)하나님의 새 백성

6)이스라엘과 민족

본문내용

뻐하며 완전히 멸망되기를 기원하기까지 하였다(시137:7). 또한 정복자의 끄나풀이되어 처절하게 함락된 예루살렘을 빠져나와 탈출하는 남유다 백성들의 퇴로를 막는가 하며 그것도 모자라 곳곳에 숨어있는 남유다 백성들을 찾아내어 바벨론에게 노예로 넘겨주었다(옵14절)
에돔의 멸망은 바로 이러한 죄의 결과로 왔다. 그리고 옵15절에 나오는 '여호와 날'은 욜1:15;2:1, 아모스5:18;8:9등 여러 선지자가 언급했다.
'여호와의 날'이란 구약 선지서에 나타나는 구약적 종말 사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신학용어이다. 암5:18-20절을 보면 분열왕국시대 후기곧B.C8세기 중반경 아모스선지자가 활동할 당시에 이미 이 '여호와의 날'의 개념이 이스라엘 백성가운데 널리 알려져있었다. 또한 '여호와의 날'이란 한마디로 '여호와께서 역사의 어느 한 순간에 결정적으로 이땅의 역사에 개입하셔서 악인을 멸하시고 의인 또는 회개하는 자들에게 구원을 행하시는 역동적인 심판과 구원의 날'을 가리키는 신학용어이다.
이처럼 심판과 구원의 양면성을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심판의 날 구원의 날
형벌과 보응이 임함(호9:7) 축복이 회복됨 (암9:11)
땅이 황폐하게됨 (욜1:10-12) 기쁨과 즐거움이 회복됨 (욜2:23)
물질이 결핍됨 (욜1:16) 성령부음을 받음 (욜2:28)
기쁨과 즐거움이 끊어짐 (욜1:16) 꿈과 이상을 봄 (욜2:28)
어둡고 캄캄함 (욜2:2,암1:16) 구원을 얻음 (욜2:32)
불로사름 (욜2:3) 다시 긍휼을 베푸심 (암5:15)
이처럼 호세아, 요엘, 오바댜에는 '여호와의 날'에 하나님의 심판뿐만 아니라 하나님께 회개하고 돌아오는 자는 하나님의 구원이 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오바댜에서 말하는 에돔의 심판은 에돔 한나라에 대한 심판이기보다는 열방신탁에 대한 대표적인 에돔의 심판을 보여주면서 아모스서에 나오는 열방신탁의 대표적인 예를 보여준다고 생각할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열방신탁을 보여줌으로써 남유다나 북이스라엘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 회개하고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더디 오시는 심판과 구원을 알아주길 바랬다. 하지만 남유다 북이스라엘은 결국 바벨론과 앗수르에 의해 멸망된다. 아모스서에서는 이러한 북이스라엘의 죄악상이 열거되지만 남유다의 죄악상에 대해서는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한 남유다의 죄악상은 요엘에 기록되어있다.
요엘서에 기록된 남유다의 죄악상에대해 말하자면 우선 여호와께 불순종한 당대의 남유다 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이며 동신에 후대의 백성들이 이 조상들처럼 계속해서 불순종한 경우에 돌이킬수 없는 하나님의 무서운 심판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예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5절에 '취한자들' 단어를 보면 아모스서에 주의 단에서 벌금으로 얻은 포도주를 마시며 죄악을 일삼는 남유다를 보여준다. 하지만 더욱 애곡할 사실은 메뚜기의 재앙으로 인해 더이상 포도주를 얻지 못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는 팔레스타인 지방에서는 포도수확이 하나님의 축복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다.
더욱 요엘선지자는 8절에 '너희'라는 애곡한 자의 대명사로 지칭하면서 직접적으로 남유다 백성들의 종교적 범죄의 죄상을 드러내며 회개할 것을 촉구한다. 또한 백성들과 더불어 제사장들에게 13,14절을 통해 구체적으로 회개의 모습을 보일것을 재차 요구하고 있다. 그러면서 15절에 '여호와의 날'을 외치면서 16-20절에 증거들을 나열한다. 2장에서는 여호와의 날에 임박했음을 나타내지만 한편으로는 유다의 '회개'를 촉구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돋보인다. 특히 2:13절에 회개하는자는 구원하실 것이라고 약속에 대한 보증으로서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와 오래 참으심, 인애등의 성품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32절에 여호와의 이름을 보르는 자는 구원을 얻는다고 말하며 '남은 자'중에 나 여호와의 부름을 받을 자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아모스 9장11절이하의 내용과 비슷한 양상이다. 곧 회개하는 날에는 하나님의 구원이 임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3장에 가서는 아모스서에서 나오는 열방신탁의 이야기는 이미 요엘선지자가 언급하고 있다.
결국 열방의 나라는 물론이고 남유다, 북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진정으로 하고자 하셨던 의도는 회개하고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사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하나님께서는 모든 민족들에게 참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 수가 있었다. 그러면서 돌아오지 못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의 심판이 철저하게 임할 것을 여러 많은 것들의 예표로 표현함으로써 회개하지 못하는 자들에게 경고의 메세지를 알 수 있었다.
반게머른은 선지자들의 가르침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Transformation of all things
2. Rule of the God: the great King
3. Unbroken covenants:Creation and Redemptation
4. Messiah
5. Purification and glorification of the remnannt
6. Enemy avenged: Judgemanet and Appeal and Revenge
7. Torah of God internalized: Spirit of Recovery.
## 요엘, 아모스, 오바댜에서 (욜2:1;2:15;2:32[히3:5];3:16[히4:16];3:17[히4:17];3:21[히4:21], 암1:2 옵1:16,17,21) 시온에서의 하나님이 많이 언급된다. 왜 하나님께서 시온을 거론하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구원의 메세지를 선포했다. 여기서 시온을 거론한 본필자의 생각은 곧 시온은 하나님의 성이며 다윗왕이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김으로써 하나님은 예루사렘 곧 시온에 거하셨다. 즉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초심의 마음으로 돌아와 나 여호와를 부르짖으라는 하나님의 회개의 촉구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 12소선지서는 서로 간에 많은 연관성이 있다 특히 요엘서 아모스서에서 오바댜의 말씀을 인용한 부분을 볼 수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오바댜 요엘 오바댜 아모스
10절 3:19 8,9절 1:11,12
11절 3:3 14절 5:15
15절 1:15 19절 9:12
17절 2:1
18절 2:3
3:4 1:9-10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1.0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