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사업계획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업의 필요성

2. 사업목적

3. 사업내용

4. 사업수행관련 구체적인 방법
1) 일반적 현황
2) 정신보건 시설 현황
3) 사업세부 추진계획
4) 평가계획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6. 사업추진 일정표

7. 참고문헌

본문내용

검사
- 전화평가 또는 설문지 조사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기대효과
1) 지역주민의 스트레스 관리상담 프로그램 참여 용이
- 보건소를 통해 스트레스관리를 쉽게 제공 받을 수 있고
-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상담을 통한 처방으로 자신의 정신 건강수준을 이해하여 자신에게 맞 는 상황 대처 가능
2) 특수집단(최근 6개월 이내 직업상실, 사별, 교통사고 등의 상황 위기에 있는 사람 등 스트레스 고위험 집단)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 참여 기회 부여 및 지속적인 관리 가능
3) 지역사회 기관 협력체계 활용
4) 스크리닝 사업계속사업으로 개인 및 지역보건지표 개발
5) 정신질환 유병율 감소 및 삶의 질 향상
활용방안
1) 조사된 보건지표는 향후 남구 건강관련 통계자료가 되고 아울러 “남구 보건의료계획” 건강증 진사업 수립 및 운영 기초자료로 활용
2) 『건강한 영혼 지킴이』건강수첩으로 정신 건강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본인 정신 건강 체크와 기록을 통해 지속적인 평생 정신건강 관리 지침으로 활용
3) 『Stress 조기 발견 및 치료 프로그램』으로 상승된 스트레스관리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자 료를 타구에 보급, 정신질환 예방 분위기 조성의 선도적 역할
< INPUT >
사업내용
사업목표
1. 사업홍보
2. stress 정도 검사
3. 고위험군 확인 및 분류
4. 고위험군 등록
5. 조기 발견 및 치료프로그램
6. 3달 단위로 재검사 추후관리
7. 정신 보건 서비스의 만족도 검사
1. 정신보건 증진
2. 정신질환의 소인 조기발견
3. stress 조기 발견
및 치료 프로그램 홍보
4. 지역주민 참여 증진
5. 지역사회 자원 강화
< OUTPUT >
개인의 변화
구민의 이점(利點)
1.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및 태도변화
2. 삶의 양식 변화 및 질병감소
3. 정신적, 사회적, 신체적 건강에 조화
4.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 증진
5. 자신감(자긍심)향상
1. 정신질환이환율 감소
2. 의료보험지출감소
(경제손실감소)
3. 구민의 건강수명 연장
4. 구민에 대한 이미지 창출
5. 구민의 단합 및 협력관계개선
6. 사업추진 일정표
사 업 내 용
추 진 일 정 (월)
비 고
2006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사업홍보】
【stress정도 검사】
【고위험군 확인 및 분류】
【고위험군 등록】
【치료 프로그램】
『건강한 영혼 지키미』
수첩 발급
SAFER 프로그램
치료 레크레이션
【재검사 및 추후관리】
【정신 보건 서비스의 만족도 검사】
【평가】
7. 참고문헌
http://www.kchn.or.kr/ 지역사회간호학회
http://www.naver.com/ 네이버
http://www.nso.go.kr/newnso/main.html 통계청
http://www.bsnhealth.go.kr/data/d_01.html 부산광역시남구보건소
http://www.hidoc.co.kr/Service/HealthTest/wowolcheck.html
http://www.empas.com/ 엠파스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신유선 외. 2004
첨부>>
SAFER 모델
정의
-위기에 처한 대상자에게 동료나 정신건강전문가가 실시하는 개인적 위기중재 프로토콜
-이는 위기에 처한 개인을 돕기 위한 심리적 안내도(map)라고도 할 수 있음.
유용성 : 갑작스런 위기상황이나 재해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며, 위기발생 이후에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적용 가능함.
목적 : 위기에 처한 개인의 심리적 불편감을 경감시키며,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조사하여 필요시 정신과적 치료를 받도록 도움.
SAFER 모델적용의 5단계
1단계: 상황 안정(Stabilization of the situation)
위기상황에서 벗어나게 한다.
스트레스를 촉발시키는 환경으로부터 대상자를 벗어나게 한다.
방법 : 함께 걷거나, 차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하게 하여 위기상황에 집중된 관심을 전환하 도록 돕는다.
위기 중재자가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자신과 자신이 수행하게 될 역할에 대해 소개하는 것이다.
2단계: 위기 인식(Acknowledgement ofthe cirsis)
위기자체를 인식하는 단계로서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다.
상담자는 대상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차근차근히 말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질문은 비록 일시적이라도 감정이 더 격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사고과정을 회복하도록 합니다.
감정이 극도로 고조되었다면, "지금 어떠세요?"와 같은 간단한 질문으로 대상자가 정서적 환기를 통해 불안한 마음을 우선 진정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 후, 점차 좀 더 구조화되고 안정된 대화로 진행한다.
3단계: 이해 촉진(Facilitationof understanding)
이해를 촉진시킨다.
이 단계는 위기상황에 처한 개인이 인지적 심리적으로 회복하는 단계
상담자는 대상자가 정상적인 인지기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위기상황에서 대상자가 겪는 증상이 정상적인 반응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4단계: 적응 격려(Emcoutagement ent Adaptive Coping)
적절히 대처하도록 격려한다.
이 단계는 상담자의 행동이 가장 활동적인 단계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관리의 기본적인 개념을 교육한다.
먼저 기본적인 스트레스관리기술에 대해 토의하고, 급성 위기상황에서의 대처방법에 대해 상담자와 대상자가 함께 극복방법을 모색한다.
상담자는 대상자의 다양한 자기치유능력(이해, 극복, 자기 향상)을 발견하도록 돕고, 위기상황에서 정서적 환기, 문제해결, 갈등해소, 인지재평가 등의 위기중재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단계: 독립적 기능회복 또는 의뢰(Restoration of Adaptive, independent Function or Referal)
이전의 1-4 단계에서의 목표는 개인이 처해진 환경에 적응하고 정상적인 일상활동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
위기중재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대부분 이러한 일상생활의 적응능력을 회복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상자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있을 수도 있다. 상담자는 대상자가 계속하여 위기중재를 받을 수 있도록 돕거나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