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키즈칸과 몽고제국과 원나라 & 중국 역사상의 동서 문화 교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칭키즈칸과 몽고제국과 원나라 & 중국 역사상의 동서 문화 교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슬람교와 라마교의 전래
③ 원대 이슬람 문화의 수용
* 이슬람교의 중국 전래로 많은 신도 형성.
* 중국은 천문, 역법, 자연과학 방면에 큰 영향을 받음.
* 중국의 전통적인 지식을 이슬람문화에 가미, 새로운 문물을 창조 천문대, 수시력(곽수경). 새로운 지도를 제작(주사본), 후에 명대에 수정되어 광여도가 됨.
* 의약, 약학 방면에 뛰어난 기술 유입.
* 이슬람의 생활풍습과 음식, 예술이 유행.
원대에 전파된 외래문화는 상류사회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에 깊이 침투하여 중국의 전통문화와 융화되면서 새로운 문화로 발전함.
④ 중국 과학 기술의 전래 제지술·인쇄술, 화약, 나침반 서방에 있어서 큰 의의를 가짐.
* 제지술, 인쇄술 한대에 발명된 제지술은 도서의 인쇄와 보급에 큰 발전을 가져왔으며, 당대 서양에 전파되면서 르네상스시대 사상의 전파와 종교개혁에 큰 공헌을 함.
* 화약 송대에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 13세기경 이슬람을 경유하여 십자군 병사에 의해 유럽에 전파되었는데 이는 기사계급의 몰락과 함께 장원의 해체를 가져옴.
* 나침반 송대에 발명, 항해술의 발달에 도움을 주어 르네상스이후 신항로 개척과 식민지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함.
이러한 중국의 과학기술의 유럽전파는 중세사회가 붕괴되고 근대사회의 시작과 함께 근세사회의 팽창에 공헌하였다.
⊙ 동서 교역 루트별(초원길, 비단길, 바닷길)
육상 교통로
해양 교통로
교통로
초원길
비단길(사막길)
바닷길(향료길)
개척 시기
선사시대, 유목민
한무제대, 장건
선박·항해술 발달
경 로
중국북부~몽골고원~남러시아까지.
내륙의 초원지대를 연결.
중국 황화~사막·고원통과(중앙아시아)~중동·지중해연안.
오아시스 도시를 연결.
남중국~동남아시아~인도 (동방항로).
지중해~홍해~인도(서방 항로)
동서 교류
*BC 8세기- 청동기문화 전래(스키타이 인).
*4세기후반- 흉노족의 이동으로 인한 게르만 족의 이동.
*6세기중엽- 돌궐족 이 길을 따라 비잔틴 제국과 교섭.
*몽고의 서방 원정도 이 길을 따라 진행.
*동서 교류의 지름길로 가장 많이 이용됨.
*주요 교역 물품은 비단. 제지술, 나침반, 화약, 칠기, 약재 등 교역.
*불교와 간다라 미술이 중국에 전래(AD 67)
*계절풍을 이용하는 교통로.
*주요 교역 물품은 각종 향신료(후추, 생강)와 도자기·차 등 교역.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
모로코의 여행가 이븐바투타
『삼대륙 주유기』의 동방여행.

키워드

칭키즈칸,   몽고,   원나라,   고려,   쿠빌라이,   동양,   비단길,   중국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0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